[학술논문] 북송 초 宋軍의 戰術과 戰力에 관한 연구(1) -周 세종의 北漢 공략 사례를 중심으로―
...야전이었음을 밝혔다. 이는 군사적 역량을 집중하여 일거에 전세를 결정지을 수 있는 장점과 함께 리스크가 큰 방식이었고, 점령지에 대한 온전한 장악도 어렵게 했다. 하지만 이 같은 군사전략이 오대 정권의 잦은 교체를 가능하게 한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전술전략은 신속한 이동을 가능케 하는 제반 요소, 즉 기병위주의 편성, 군수 보급능력의 완비, 협공을 위한 부대 간의 협조, 예비대의 운영 등의 조건 구비를 전제로 한다. 특히 지휘관의 결단력과 솔선수범 등은 수시로 변하는
전장
환경에서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술전략이 어떻게 송군에 계승되고 변하였는지 북한과의 군사적 충돌을 통해 살펴보고 나아가 積弱積貧의 구조적 한계에 빠진 요인에 대해서도 후속 논문을 통하여 계속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