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이후 북한의 고아정책과 그 성격 - 1945~50년을 중심으로 -
...민주주의 조선의 사회에서 고아들에게 기본적으로 부모가 있는 아동과 같은 생활과 교육을 보장할 것임을 천명했다. 북한 정권이 일제 치하의 ‘암담한 환경’ 속에서 비정상적으로 자라온 어린이들을, 고아이든 아니든 국가적 차원의 보호와 육성이 필요한 대상으로 인식했다는 것은, 곧 식민지라는 총체적 비정상성을 극복하고 해방의 ‘
정상성’을 실천하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이에 따라 북한 정권은 고아들에게 의식주를 비롯한 의료, 보건, 학교교육, 사상교양, 문화생활 등 일상의 모든 측면에서 전방위적 지원을 해주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는 고아들에게 부모와 가정이 있는 아이들과 ‘차별’이 없는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된 정책이었다. 북한 정권은 항일혁명투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