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표로 본 한국사회와 상징정치 — 해방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를 중심으로
...태극기와 무궁화가 우표 도안에 많이 나타났다. 태극기와 무궁화의 국가상징화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을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북한에서도 최초의 우표와 해방1주년 기념우표에서 태극기와 무궁화를 사용해서 태극기와 무궁화는 해방 직후 남북한 모두의 공통 상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우표는 상징정치의 기능을 하였으며 국가
정책적인 측면에서 홍보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국가는 체제를
정당
화하는 수단 중의 하나로 우표를 이용했으며 우표는 국가상징과 국가만들기, 국가정당성 확보와 국민만들기, ‘전통의 발명’, 권력이미지 홍보의 수단이었다. 넷째, 남북한 모두 한국전쟁에 대한 시각을 우표에 담았고 전쟁홍보나 정치적 목적으로 우표를 이용하였는데 한국전쟁기 남북한 우표를 비교해 보면 한국전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