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민족음악의 실제 『조선민요의 조식체계』와 『조선민요조식과 민족전통화성』을 중심으로
...‘민족성’과 외래이자 현재인 ‘현대성’을 통합시켜내는 방식으로 민족음악을 구성해 갔다. 그런 점에서 북측의 민족음악은 ‘전통-서양-대중’의 구분이 아닌 장르 통합적인 성향을 띠고 있으며 외래음악과의 관계에 민감하고 유연한 자세를 취해왔던 것이다. 그러한 민족음악의 실제 모습을 구체적인 형태, 『
조선
민요의 조식체계』와 『조선민요조식과 민족전통화성』이라는 책으로 살펴보았다. 민족성에 대한 주목은 사회주의 국가 일반의 특성인 인민성과 연결시킴으로써 ‘인민음악’으로서 민요에 주목했으며, 또한 인민음악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민족음악의 유산으로서 지배계급의 음악인 궁중음악까지 새로운 민족음악의 원천으로 삼아 왔다. 그리고 이러한 민족성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