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45~1946년 북한의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과 혁명동력의 설정ㆍ배제
...포섭하였다. 혁명동력의 설정과 배제는 먼저 혁명노선에 의해 설정되었고, 이 혁명노선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정치정세의 변화에 따라 결정되었다.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은 혁명동력을 노동자ㆍ농민으로 설정하였고, 이들을 당과 군대에 적극적으로 끌어들였다. 민족주의자들은 조선민주당을 창당해 공산당에서 제외된 부농ㆍ자본가ㆍ종교인을 통일전선에 끌어들였고, 조선독립동맹은
조선
신민당을 창당해 중농과 인텔리를 통일전선에 끌어들였다. 공산주의자들은 혁명동력의 외연을 확장하기 위해 친일파를 2개 집단으로 분류하고 소극적 협력자를 통일전선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북한의 정치질서는 모스크바3상회의 결정을 계기로 근본적으로 변화하였다. 소련군사령부는 북한의 3상결정 지지세력을 결집하고 반대세력을 억압하였다. 이와 함께 북조선행정10국은 194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