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아카이브8000만 웹진 3호
...밝힐 수 없음). 한국에 정착하려 했던 기간 동안 겪었던 가장 큰 어려움 세 가지를 묻는 설문에서는 사용하는 언어 및 상식의 차이, 그리고 억양 차이에서 발생하는 차별적인 사회적
인식이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이는 탈북민을 구분하기 위해 언어적인 요소들이 이용됨을 알 수 있으며, 북한에서 통용되지 않는 한국적인 상식과 문화적 공감대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이 하나원 교육과정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입국 후 고등학교에 취학했던 응답자는
조선족으로 취급당했던 경험을, 바로 대학에 진학했던 분은 대학에서의 차별 경험을 언급하였다. 연구 결과로 유추해볼 때, 차별이 일어나는 공간은 굉장히 일상적인 공간이며, 한국 사회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