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실효적 이행방안
...
조약
체결권과 남북합의서의
체결 권능을 부정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어
체결·
비준, 국무회의 심의, 필요에 따른 국회의 동의, 공포의 순서로 효력이 발생하는 남북합의서의 성립 절차는 국제
조약법 및 국내
조약성립
조약을 국내법화하는 과정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남북관계발전법의 남북합의서
체결 조항을 문언 분석과 판례, 과거 관행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국제법학자 Oppenheim이 제시한
조약의 5가지 충족요건에 부합한다. 이를 이유로 남북합의서의
조약성(性)은 긍정된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통해 일관성 있는 남북관계와 통일정책의 투명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고 남북관계를 한층 더 제도화시키기 위해
① 남북합의서의 국회
비준 동의의 중요성,
② 남북관계발전법 제23조의 효력 범위 구체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