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측 학자의 「농악」 인식과 논의 경과, 그리고 의의 분석 -「農樂에 關하여」와 「농악놀이」 두 가지 예증을 구실삼아-
...중요한 연희의 산물임을 알게 하는 글이다. 한 편의 글은 집단적인 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농악의 개념이나 역사적 경과, 농악의 지역적 분포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으며, 농악이 장차 어떠한 인민악의 전형이 되어야 하는지 진중하게 논의한 글이다.
조운이 주요한 발제자 노릇을 하였고, 나머지 학자들이 동참하여 견해를 덧보탠 점에서 주목할 만한 글이라고 할 수가 있다. 다른 한편의 글은 한국전쟁 뒤에 이루어진 것으로 『조선의 민속놀이』에 실린 것이며 이 역시
조운이 집체작의 대표자로 되어 있는 글이다. 두 편의 글은 농악이 인민악의 전형이 될 수 있으며, 개량을 하게 되면 인민들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악의 성격을 지닌 것이라고 내세우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농악놀이는 중요한 전형으로 획득되지 않았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