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개인의 정신건강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실감이 지속유대 및 의도적 반추를 통해 우울을 완화하고 상실후성장에 이르는 적응적 접근기제를 가정하였다. 연구 2의 결과,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회피 및 침습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부적응적 회피기제가 가설과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이때 모호함 감내력이 낮을수록 모호한 상실감이 우울로 향하는 순차
매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 모호함 감내력에 의한
조절된
매개
효과도 유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적응적 접근기제에서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지속유대를 매개할 때 우울을 감소시키지는 않았지만 상실후성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지속유대가 모호한 상실 맥락에서 적응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한 본 연구의 기본 가정과 일관되는 결과이다. 나아가, 모호한 상실감은 지속유대 및 의도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