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대남혁명전략에 관한 연구 : 신제도주의적 분석을 중심으로
...‘촉진요소’ 부재현상을 타파할 가능성이다. 북한은 ‘불패의 혁명무력’을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통해 충분하게 확보했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또한 김정은의 통치력 미흡 보완, 정권의 공고화, 체제존속의 절박성 등에 민감할 경우 ‘
주체적 요인’의 혁명성 강화도 예상된다. 이와 같은 대남혁명전략 변화분석에 따른 북한의 향후 대남정책은 첫째, 혁명의 ‘주객관적 정세조성’을 위해
군사도발의 지속 둘째, ‘혁명주체요인’을 보강하기 위한 대남공작 강화 셋째, 2016년 총선을 계기로 한 사회 혼란조성과 전위당 구축 배후활동 전개 넷째, 전략적 ‘중심 고리’인 반미투쟁 활성화 다섯째, 인터넷과 SNS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