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리더십 혁신과 북한 : 최고지도자들의 비전, 노선,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통해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길을 열고, ‘덩샤오핑 이론’부터 장쩌민 ‘3개 대표론’까지, 후진타오 ‘과학발전관(科學發展觀)’부터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까지, 능동 적인 리더십 혁신을 통해 중국특색 사회주의 제도를 개척하였다.
중국인들은 40년의 ‘제2차 혁명’이 당대 중국을 이루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당대 중국의 모든 것이 완벽하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부족하고 결함과 단점 그리고 실수가 여전히 있는데, 특히 전임자가 후임자에게 남긴 과제들, 시대와 더불어 새로이 나타난 과제들, 그리고 지금 한국 학계에서 흔히 말하는 인치(人 治) 정치의 전통으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