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의 변화 - 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선족의 이주와 거주의 역사’에는 항일전쟁과 조선족이 갖는 특수성으로서 모빌리티, 자생력, 자부심의 표상이 속한다. 구판(2007-2011년판)에서 항일전쟁은 한반도 조국의 독립을 위한 전쟁이었지만, 신판(2021-2022년판)에서 항일전쟁은
중국의 애국주의와 국제주의의 맥락에서 국민 정체성의 표상이 된다. 구판에서는 한반도로부터 이주해 온 조선족 정주의 역사, 자생력과 문화적 자부심이 나타나 있지만, 신판에서 조선족이
중국으로 귀속된 역사는 명확히 드러나 있지만 한반도로부터의 이동과 정착의 양상 등이 추상적으로 나타나 있다. ‘조선민족 문화의 계승과 수용’에는 조선민족 문화의 역사성을 해방 이전의 문학, 민족 문화 등을 통해 드러내며, 조선민족 문화의 공유 양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