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현황과 발전방안: 북한 접경지역과 비접경지역의 구분을 중심으로
지방
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은 자율성, 다양성, 시민참여, 지방분권 및 재정안정성의 측면에서 정부가 주도하는 단선적인 사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25년간 진행된
지방
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환경, 정부의 대북정책, 북한의 대남전략, 남북관계의 변화 등
지방
자치단체의 의지와 노력의 범위를 벗어나는 구조적 차원의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추진하기 수월하고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이벤트적 성격이 강한 사업이 중심이 되었고, 교류협력사업을 지역의 이익으로 환원시키지 못하였으며, 시민참여와 전문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노정하였다. 향후 남북교류협력은 지역적 특성에 기반 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상호이익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