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1970년대 북한 수령제의 정치동학
...지나치게 경직되어 개혁개방이라는 시대의 변화에 전혀 적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셋째, 지방에서는 정권이 의도한 것과 달리 당위원회의 음성적인 분권성이 확산되었고 이는 수령제의 분열과 혼란으로 이어졌다 평양에서 조금만 눈을 돌리면 우리는 북한 사회가 결코 유기체와 같이 일원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아무리 수령의
직할
통치를 위한 정권의 의지가 확고했다고 하더라도, 여러 제도적인 허점으로 인해 지방의 간부들은 평양의 눈을 피해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여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서 중앙과 지방 사이에 보이지 않는 정치적 긴장이 형성되었으며, 정권은 이 긴장을 더욱더 중앙집권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려 했기에 체제 내부에서 분열과 혼란은 계속해서 확산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