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기억으로
...분단된
집합
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
기억으로 만들어 가는 실험장이 될 것이다. 남북의 역사교과서는 3.1운동이 전 민족적인 반일 항쟁이었음을 공통적으로 언급하지만, 운동의 배경과 주도세력뿐 아니라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측은 운동의 배경으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주도세력으로서 민족대표 33인, 성과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을 강조했다. 반면, 북측은 러시아혁명과 민족해방운동, 노동자․농민층의 진출, 부르주아민족주의 세력의 몰락과 당과 수령의 지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강조했다. 그것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남북의 체제적 분단이 낳은 결과이자, 남북 정권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
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
기억으로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