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지원] [2018 통일나눔펀드 지원사업] 2030세대의 대북통일인식 연구
...이를 어떻게 해석 해야 할까? 사실 이 의문들은 서베이에 참여하는 응답자들과 그들로부터 수집한 정보의 신뢰성과 질(quality)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렇게 획득된 자료와 여론의 질은 완전하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이러한 서베이의 여론 확인의 한 계를 극복하기 위해 피시킨(Fishkin, 1992)을 위시한 사회
과학자들이 제시한 방식이 공론조사 또는 숙의형 토론이다. 공론조사는 숙의과정(학습과 토론)을 통해 충분한 정 보와 지식을 갖춘 능동적 시민들의 의견, 즉 공론을 형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여론 조사와 다르다. 공론조사는 시민들이 집중적인 공론화과정에 참여하여 균형 잡힌 정 보를 얻게 유도한 후 시민들의 의견을 측정한다. 즉 시민들을 다양한 정보와 의견에 노출시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