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희로애락의 감정을 가진 인간으로, 전형적인 영웅보다 복잡하고 현실적인 존재였다. 루링은 자신의 기존 창작 특징인 혼란의 시대 속 중국 지식인과 하층민의 갈등, 분투, 상처를 다룬 서사에서 벗어나, 신중국의 광명과 새 희망을 담고자 노력했고, 이를 위해 혁명의 열기가 가장 뜨거웠던 조선으로 자원해 직접 현장을 체험하며 창작에 몰두했다. 그러나 정치적 요구와 창작의 본질적 추구 사이에서 그는 여전히 ‘인간 내면의 탐구자’로서의 문학적 사명을 놓지 못했다. (…) 이미 여러 차례 받은 비판을 통해 자신의 창작이 당대 문단과 충돌하고 있음을 의식하고 있었지만, 루링은 죽음과 직면한 찰나에 한 생명의 독자적...
[통일/남북관계]
...
제3장은 분단 상황 아래 이데올로기 경쟁과 대립이 빚어낸 이산가족들의 사례를 다루고 있다. 납치로 끌려간 영화인 최은희와 신상옥, 망명을 선택한 지식인 오길남, 남한으로 망명한 주체사상 이론가 황장엽, 북한의 로열패밀리 이한영과 성혜림, 북한의 남편을 47년이나 기다린 독일 여성 레나테 홍, 이들의 사례를 통해 망명과 납치로 야기된 이산가족의 문제가 분단과 별개로 다루어지고 해결될 수 없음을 가족의 이름으로 항변한다.
제4장은 지난 세기 격동의 동북아 정세 속에서 해외 한민족이 겪어야 했던 디아스포라 이야기를 풀어낸다. 수백만 명의 이주민들이 한반도를 떠나 이역(異域)에서 흩어지고 각자의 처지에 따라 현지 사회에 적응해야 했던 디아스포라의 이산 체험을 구술자료를 통해 사례별로 조망한다...
[학술논문] 김재준의 공산주의 이해-한경직, 박형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Since Korean War, even though Kim Chai-choon, Han Gyung-Jik and Park Hyong-Ryong had manifested their anti-communism, their understanding for it was quite different one another. For, they have experienced the communism in the different situations. For Kim Chai-choon, he manifested himself as an anticommunist but he had a deideological understanding in his deep aspect. He criticized the dogmatism of
[학술논문] 최인훈 『광장』의 불교 정서적 상징과 구성
...남한에 정착한 작가이다. 한국현대사 자체가 그 삶의 현실이었다. 따라서 하나의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이 소설의 근간을 이루며, 『광장』은 그것을 대표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이 일제 때 북한에서 태어나 광복 후 남한으로 내려오고, 다시 월북하여 북한 정치체제를 체험한 후 한국전쟁 때 인민군 포로로 잡혀 있다가, 휴전 당시 중립국을 선택하여 인도로 가는 배안에서 사라지는 줄거리가 바로 그렇다. 표면적으로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데올로기적 사변으로 점철되어 있으나, 한국사의 과정 속에서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추적하는 것이 소설의 관념적 얼개를 이룬다. 그 정체성의 한 뚜렷한 면모가 한국인으로서는 결코 벗어날 수 없다고도 할 수 있는 불교적 정서에 있다. 윤회와 인연, 불교적 수행방식인 소승과 대승...
[학술논문] 남북한 여성 시인의 전쟁 표상 연구 : 렴형미․허수경․고정희를 중심으로
...분단이라는 시대적 현실 속에서 직접적인 전쟁 경험이 없는 남북한 여성 시인 렴형미, 허수경, 고정희의 시를 중심으로, 이들이 전쟁과 분단의 상흔을 민중성, 여성성, 모성성이라는 문제의식과 어떻게 접목시키며 시적 실천으로 확장하는지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렴형미는 북한 집단주의와 체제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민중과 모성을 국가적 계몽과 혁명의 주체로 재구성하였고, 여성의 헌신과 공동체적 연대를 강조했다. 허수경은 직접적 전쟁 체험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가족사, 실존적 상흔, 지역성을 통해 약자와 타자의 고통, 연대와 치유의 모성을 섬세하게 시화하며, 시대적 부조리를 언어로 드러냈다. 고정희는 모성을 여성의 해방이라는 틀 안에서 검토하고 있으며 굿, 제의, 장시 등 집단예술 형식을 통해 분단의 트라우마와 민중․여성의...
[학술논문] 한국전쟁 초기 전쟁 소식 전파와 대응의 커뮤니케이션
...현저성이 높아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기간 서울주민들이 접했던 가장 중요한 소식 접촉 수단은 단파라디오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었다. 단파라디오를 소유한 사람들이 적었지만, 라디오로 들은 전쟁 소식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유형으로 친지와 이웃에게 전파되고, 그 친지와 이웃이 또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며 확산된 것이다. 전쟁소식에 대한 사람들의 대응양상에서 나타나는 함의도 주목된다. 이승만정부의 독재와 무능, 부패에 비판적이었던 사람들조차 북한체제보다는 남한체제가 더 나은 체제라는 것을 체험으로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휴전 이후 한국 사회에 반공주의가 지배이데올로기로서 더욱 강력해진 것은 정부의 극단적인 반공정책과 함께 한국전쟁 기간 남한 국민들이 겪은 북한의 남한통치 체험이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최근 한국과 스페인의 소설에 나타난 내전의 기억: 서사적 특징과 사회적 함의에 대한 비교연구
...마음대로 쓸 수 없었던 시기를 거쳐야 했다. 상당한 시간이 지나서야 작가들은 이데올로기적 제약에서 벗어나 각자의 주관대로 전쟁을 서술할 수 있었다. 전쟁을 온전하게 체험한 1세대의 작가들에 비해, 전쟁 시기에 유아나 소년에 불과했던 2세대의 작가들은 전쟁에 대해 간접적이고 불완전한 지식을 갖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다보니 이들의 작품 역시 이데올로기적으로 왜곡되는 측면이 있었다. 이 연구가 살펴보는 1990년대 후반부터의 작품은 종전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지난 후 태어난 3세대 작가들의 것으로서 탈냉전 시대 상황을 반영하듯 이전시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우선은 이데올로기적으로 자유롭다는 것인데, 전쟁의 당사자들이 품었던 이데올로기적 열정에 지극히 냉소적이다. 한국의 3세대 작가들은 전쟁은 물론 분단의 상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