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국적 어머니 경험을 통한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정서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모성 경험’, 여성과 어머니 욕구의 갈등’, ‘
초국적
모성의 재구성’으로 구조화하였다.
초국적 어머니 경험에 나타난 이들의 정서변화 및 이와 관련된 현상들은 ‘책임감/좌절감-갈등-떠남’, ‘상실감/무력감-갈등-재 선택’, ‘견딤/그리움-현실수용-인내’, ‘외로움/죄책감-현실수용-여성과
모성의 추구’, ‘책임감/당당함-현실수용-책임지는
모성’으로 이해되었다.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초국적
모성 경험의 본질에 대해 ‘자녀는 자녀요, 엄마는 엄마이기 때문에 먼 거리에 있든, 가까운 거리에 있든 사람으로서 당연한 역할이요, 자식이 거기 있기 때문에 엄마의 마음도 거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