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세기 전반 탕춘대 지역의 도성 외곽 기지화와 총융청 관할 방어체제의 성립
...조치에도 불구하고 탕춘대 일대의 방어체제에는 큰 한계가 있었다. 성곽의 낮은 방어력, 상비병력의 부족, 군량 및 무기의 미비 등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한계들은 영조 4년(1728) 발생한 내란인 무신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큰 장애요소로 인식되었다. 이에 우선 영조대 전반에 이르기까지 대동세 등을 활용해 비축곡을 추가로 마련하는 작업이 이뤄졌다. 이러한 조치에 바탕하여 영조 23년(1747)에는
총융청이 탕춘대로 이전하였다. 이후 영조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총융청을 중심으로 탕춘대 지역 방어체제가 일정하게 강화되었다. 상비병력이 확충되었으며 성곽시설이 보완되었다. 끝으로, 무기관리체계가 정비되어 조총을 비롯한 화약무기를 자체적으로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도성수비를 강화하는데 크게 이바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