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 지식인들과 전후 북한의 조우, 영화 <모란봉>(1960)
...큰 비중을두었으며, 와이드스크린이라는 새로운 기술 혁신을 통해 스펙타클한 북한을 보여주고자 시도했다. 또한 영화에 삽입된 창극
춘향전은 두 주인공의 상황과 분단상태의 한반도를 유비하며, 공중폭격 중에도
춘향전이 공연되는 모란봉지하극장은 재건과 최후의 승리를 위한 공간으로서 상징성을 얻는다. 영화는 전쟁 중 북한의 상황을 전달하는 매개자로 프랑스에서 온 기자를 전략적으로 위치시켰다. 1958 년의 북한이라는 특정한 시공간에서 프랑스와 북한 사이 진영을 가로지른 합작은이데올로기적 이해관계의 충돌 속에서 긴장과 협상의 공간을 만들었다.
춘향전 을 변주함으로써 한국전쟁에 대한 다른 버전의 이야기를 제시한 영화 모란봉에서 한국전쟁은 피할 수 없는 한계상황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