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인간관계 변수로서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Model 1]에서는 가족변수(β = -1.840, p .1)와 종교변수(β = 1.994, p .05)가 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가족 수가 많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들의사회적 거리감이 멀어지고,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는 종교변수(β = 1.840, p .1), 위협인지(β =-11.234, p .001), 모와의 관계(β = 2.516, p .01), 그리고
친구와의
관계(β = -2.040, p .05)가 청소년의사회적 거리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