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난민과 증언으로서의 서정 - 탈북시인 백이무 시를 중심으로
...난민문제는 이주사에 한 재고찰을 요청한다. 특히 탈북민은 한국형 난민으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토로부터 스스로 를 추방한 탈북난민들의 월경은 폭력을 일상화한 독재 정권에 한 적극적 인 저항의 발로라기보다 생존을 위해 촉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이방인으로서의 탈북난민에 한 고찰을 토로 증언의 형식으로 발화되는
탈
북
시의 주제 양상을 탈북시인 백이무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가 백이무 시인에 주목하는 이유는, 첫째 작가가 처한 지정학에 있다. 그는 탈북했지만, 제3국에서 이름을 숨긴 채 살아가는 자기-은폐의 양상을 띤다. 둘째, 그의 문학 활동은 국적성 문학의 좌표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의 시쓰기는 북한의 비참한 실상을 고발하고 그 실태를 전세계에 알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