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도우미의 소설화 양상과 그 의미
...탈북자 문제에 대한 법적 현실을 생각하면 탈북이주민 제재 소설에서 탈북자의 인권과 밀접하게관련된 탈북 도우미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요구된다.중국정부가 재중탈북자의 한국행을 돕는 탈북 도우미에 대해 형사적 책임을 묻는 정책을 펴더라도, 한국행을 원하는 탈북자들이 존재하는 한 탈북 도우미는 없어서는 안 될 필요악이다. 탈북 도우미의 존재와 활동 방식자체가 양가성을 지니기에 탈북이주민 제재 소설에 등장하는 탈북 도우미에 대한 서술은 양가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탈북 도우미의 존재와 그들의 활동은 동포애의 범주를 지나 법적․외교적 문제이며 난민 문제와 인권문제까지 얽힌 세계사적 문제이다. 이에 대한 소설적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탈 북 이주민 제재 소설이 짊어져야 할 중차대한 주제라 하겠다.
#탈북이주민 제재 소설 #재중탈북자 #탈북 도우미 #양가성 #조용한외교 #인권 문제 #최병우
[학술논문] 탈북이주민에 관한 소설적 대응 양상
... 최종 이주국인 한국이나 제삼국에 적응하는 문제 등을 제재로 한다. 본고에서는 탈북이주민 제재 소설에 나타난 탈 북 이주민의 형상화양상을 북한 생활, 중국 생활, 월경 과정, 이주국에서의 삶 등으로 나누어, 열여섯 편의 작품들이 어떤 것에 치중하여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가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탈북이주민 제재 소설이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였다.
#탈북이주민 #북한 #비법 월경 #불법 체류 #강제송환 #이주국 정착 #적응과 부적응 #최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