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세기 전반 탕춘대 지역의 도성 외곽 기지화와 총융청 관할 방어체제의 성립
탕춘대는 한양도성과 북한산 사이에 위치한 구릉지대로 도성수비의 최종 방어선이었다. 조선 정부는 17세기를 전후해 여러 차례의 전란에서 도성이 쉽사리 함락된 것에 대한 반성 속에서 18세기 이후
탕춘대를 포함한 도성 일대의 방어체제를 정비하기 위해 노력했다. 먼저, 숙종대에는 도성과 그 배후지인 북한산에 성곽을 마련하고 군사기구를 정비하는 작업이 이뤄졌다. 동시에 도성과 북한산성의 중간에 위치한
탕춘대에 군량과 무기 창고및 성곽을 설치하고 방어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숙종대 일련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탕춘대 일대의 방어체제에는 큰 한계가 있었다. 성곽의 낮은 방어력, 상비병력의 부족, 군량 및 무기의 미비 등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한계들은 영조 4년(1728) 발생한 내란인 무신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