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21세기 한국 국제안보 연구: 개념과 실제
...국제안보와 유사한 범위를 갖게 된다. 이런 국가안보, 또는 국제안보적 접근의 장점은 통일, 외교, 국방의 통합적인 접근을 가능케 한다. 한국의 미래 생존과 번영은 국제안보와 외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의 국가적 특성이 이를 말해준다. 한국은 분단국가, 안보취약국가, 통상국가, 중견국가, 그리고 세계국가이다. 따라서 우리는 통일외교, 안보외교,
통상외교, 중견국외교, 글로벌외교를 통해 통일을 추구하고 안보와 통상국익을 극대화해야 한다. 특히 한국은 분단국이며 안보취약국이지만, 다른 주요국에 비해 독자적인 국가안보 및 국제안보 전략과 역량이 아직 부족하다. 그동안 분단의 현실과 북한의 군사적 위협 속에서 한미동맹 이외 별다른 안보전략을 구상할 여력을 갖지 못했던 탓이다. 근래 대내외 환경의 대변동 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