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北 도발땐 즉각 응징…24시간 감시·3축체계 구축
국방부가 올해 북한 핵·미사일 위협 억제 및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24시간 감시 및 도발 시 즉각 응징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한국형 3축 체계 보강과 군 정찰위성 4·5호(SAR)도 추가 발사하기로 했다. 한미 연합 방위 능력 및 태세 확립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국방부는 최근 전쟁 양상을 반영한 정부·군사 연습 통합과 여단급 이상 부대의 대규모 연합 야외 기동훈련도 확대할 방침이다.
[뉴스] 뉴저지, 북한 해킹 경고…핵 산업 겨냥한 위협 증가
미국 뉴저지주 정부가 2일,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 그룹의 활동을 경고하는 사이버 보안 주의보를 발표했습니다.
뉴저지주 사이버보안 및 통신 통합센터(NJCCIC)는 “북한과 연계된 라자루스 그룹이 과거 방위산업, 항공우주, 암호화폐 분야를 주로 공격하던 전술에서 최근 핵 산업에 초점을 맞추는 우려스러운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뉴스] 발사 또 발사… ‘안보 딜레마’ 수렁에 빠진 한반도
“북한 정권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핵 선제 사용을 법제화한 비이성적 집단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2024년 1월3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57차 중앙통합방위회의에서 이렇게 말했다. 두 가지를 짚어볼 필요가 있다. ‘핵 선제 사용’ 문제와 ‘비이성적’이란 규정이다.
[학술논문] 탈냉전 이행기 동유럽의 안보 및 동맹전략의 변환과정과 경로에 관한 연구: 체코와 우크라이나의 사례 비교
...군사안보전략이 NATO와 밀접하게 연동되어있고, ‘공동외교안보정책(CFSP: Common Foreign and Security Policy)’과 ‘안보방위정책(ESDP: European Security and Defense Policy)’, 그리고 ‘유럽안보전략(European Security Strategy)’ 등, EU의 안보 및 군사관련 프로그램들이 가입국들에게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코와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들은 EU와 NATO를 자국의 안보전략에서 통합적인 체계로 사고하였으며 체제이행기에 외교안보 및 군사전략의 변환과정에서 두 기구에의 가입을 동시병행 추진하였다. 연구 시기는 소비에트 체제 말기이자 동유럽 체제이행이 시작된 1989년에서...
[학술논문] 일본 군사력 평가:‘동적 방위력 (dynamic defense force)’에서 ‘통합기동방위력’에로의 행보
...안보체제를 강화하는 정책으로 선회하였다. 2012년 12월에 집권하기 시작한 제2기 아베 정부도 안보전략, 방위제도, 그리고 자위대 군사력 증강 측면에서 이같은 흐름을 계승하고 있다. 안보전략 측면에서 아베 정부는 종전의 방위계획대강에 더해 새롭게 국가안보전략서를 책정하면서, 중국과 북한의 군사력 증강을 위협시하는 인식을 계승하였고, 방위계획대강에서는 종전의 ‘기동방위력’개념을 대체한 ‘통합기동방위력’의 개념을 제시하여, 자위대 군사력 증강의 방향을 표명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통합기동방위력’의 개념에 따라 육해공 자위대의 전력도, 제약된 방위예산 하에서 점진적으로 증강되고 있다. 육상자위대는 일종의 특수전 대비 전력인 중앙즉응집단이 2007년에...
[학술논문] 통합방위제도의 발전과정과 현대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통합방위제도는 고유한 전통성과 전문성을 발전시켜 왔다. 한국의 통합방위제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견고하고 효율적이며 사회친화적인 방위제도이다. 본고는 2016년 현재 증가하고 있는 북한의 현저한 위협 속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행태에서 통합방위제도와의 맥락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어떠한 정책이나 제도 속에 자발적 참여를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공공적, 조직적,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제도와 사회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관계를 논의 하였다. 논제가 주는 함의는 첫째, 외부위협에 대응 가능한 사회 통합적 구조와 기능을 가진 제도라는 것이다. 둘째, 지역단위 안보 공동체 성격의 방위 제도로서 상호관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통합방위제도는 완전한 법령 체계를 구비하면서...
[학술논문] 통합방위제도의 발전과정과 현대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통합방위제도는 고유한 전통성과 전문성을 발전시켜 왔다. 한국의 통합방위제도는 세계적으로 가장 견고하고 효율적이며 사회친화적인 방위제도이다. 본고는 2016년 현재 증가하고 있는 북한의 현저한 위협 속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행태에서 통합방위제도와의 맥락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어떠한 정책이나 제도 속에 자발적 참여를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공공적, 조직적,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제도와 사회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관계를 논의 하였다. 논제가 주는 함의는 첫째, 외부위협에 대응 가능한 사회 통합적 구조와 기능을 가진 제도라는 것이다. 둘째, 지역단위 안보 공동체 성격의 방위 제도로서 상호관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통합방위제도는 완전한 법령 체계를 구비하면서...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국가총력적 대응체계를 위한 법제방향
... 헌법 제37조제2항 및 제77조제1항의 비례원칙상 전시‧사변 또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질서유지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특단의 상황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평시상태에 있어서 군의 개입은 엄격하게 제한되어야 한다는 점과 관련하여, 북한의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사이버위기가 발생한 경우 또는 지역의 주요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공격과 동시에 적의 침투‧도발에 의한 통합방위사태가 선포된 경우에 북한 사이버공격에 대한 책임 대응기관을 누구로 하여야 하며, 물리적 도발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진 군사시설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해 ‘전쟁 외의 군사작전’으로서 군의 제한적 대응이 가능한지 여부 등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