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탈북민 주무부처 행안부로 바뀌나…하나원은 통일부 존치 검토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이재명 정부 들어 통일부가 전담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관련 업무의 개편 방안이 논의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21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국정기획위와 통일부는 탈북민의 지역사회 정착 지원 등 탈북민 정책을 담당하는 통일부 본부(남북통합문화센터 포함) 정원 20여명을 행정안전부로 이관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뉴스] "한국, 美 관세 협상에 남북 경제협력 카드 활용 가능"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 한국이 남북 경제협력을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16일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서울 강남구 섬유센터에서 개최한 '미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방향과 대응방안' 특별초청강연에서 김동석 미주한인유권자연대(KAGC) 대표는 "한국 정부의 모든 자원과 전문성을 통합해 미국 정부와의 협상에 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뉴스] '푸틴 측근' 메드베데프, 北 당비서와 회동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26일(현지시간) 리히용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와 만났다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측근이자 통합러시아당 의장인 메드베데프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VK에 리 비서와 회동한 사실을 공개하면서 러시아와 북한이 지난해 체결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뉴스] 국민통합위 “北이탈주민 용어, 北배경주민 등 변경해야”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10일 북한이탈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를 변경하는 등의 정책을 통해 부정적 이미지를 제고하고 정착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회/문화]
...속에서 발전해 온 남한과 북한의 사회보장제도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통일 이후 통합 전략을 모색하는 국내 최초의 융합형 교재다. 경제학과 사회복지정책을 아우르는 연구자로서 저자는 제도의 역사·철학·재정·운영 체계를 다각도로 비교하고, 통일을 대비한 단계별 전략과 정책 조정 방안을 제시한다. 남한의 점진적 복지국가 모델과 북한의 국가 주도형 보장 체계를 대비시키며, 단순한 제도 나열을 넘어 체제적 의미와 실제 적용 가능성을 조망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보장 혁신 전략, 지속 가능한 재정 운영 방안까지 탐구하여, 학문적 체계성과 실무적 활용성을 동시에 갖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학계와 정책 현장, 그리고 통일 한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든 이들에게 필요한 실천 지침서가...
[사회/문화]
...식민통치가 가능했다. 아마 미국의 핵무기 공격이 없었다면 일본의 경찰 기구 통치는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되었을지도 모른다.
북한의 김씨 정권은 사회안전성을 설치하고 주민들의 행동은 물론 머릿속 사상까지 통제에 나섰다. 김일성은 1945년 11월 29일 내무성 정치보안국 창설했고 1951년 3월 사회안전성으로 독립시켰다. 이후 다양한 기관과의 통합 및 명칭 변경을 거쳤다. 김정일시기인 1998년 사회안전성으로 개편된 이후 김일성의 사망과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심화조 사건을 맡으며 강력한 주민통제를 담당했다. 2000년 4월 심화조 사건 후 인민보안성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김정일은 인민보안성을 통해 각종 주민통제 작업을 수행했다. 3대 지도자 김정은은 2020년 6월 명칭을 다시 사회안전성으로 변경했다...
[사회/문화]
남북한 비교문화 총서는 기존의 권력구조의 변화, 엘리트의 변동, 노선 및 정책의 변화 등과 같이 상부구조나 거시구조의 변화에 주로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다수의 북한연구물들과는 달리, ‘일상생활(daily life)’의 연구 영역을 주된 관찰 현장으로 삼아 미흡한 북한이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어떠한지 자세히 보여주고자 합니다.
총서 시리즈물의 18번째 편인 ‘국가정체성’ 편은 가족학이라는 미시체계를 연구하는 저의 학문적 토대를 기초로 북한이라는 영역으로 그 학문의 영역을 확장하여, 사회학자이자 통일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통일 정책과 통일 이후의 사회 통합을 주제로 여러 연구를 열정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곽태환 박사님, 진로 발달...
[통일/남북관계]
...역사였으며, 그 분단의 역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체육 분야의 남북 회담 사례는 남북 관계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창이었다. 적십자 회담, 고위급 회담, 군사 회담 등 여러 회담이 열렸으나, 체육회담에서 단일팀을 구성하는 문제조차도 첨예한 정치적 입장의 대립으로 진전을 이루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이 어렵게 만나 작은 성과라도 내게 되면 남북 관계는 잠시 희망으로 전환되었다가, 곧 절망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반복되었다. 그것은 남한과 북한이 가까워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한 내부만이 아니라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이 작동하고 있는 이상 이를 무시하고 남북의 체육인들이 만난다고 하더라도 이를 극복할 열쇠가 우리에게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사회/문화]
남북한 비교문화 총서는 기존의 권력구조의 변화, 엘리트의 변동, 노선 및 정책의 변화 등과 같이 상부구조나 거시구조의 변화에 주로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다수의 북한연구물들과는 달리, ‘일상 생활(daily life)’의 연구 영역을 주된 관찰 현장으로 삼아 미흡한 북한이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어떠한지 자세히 보여주고자 합니다.
총서 시리즈 제17편 성소수자’ 편은 가족학이라는 학문적 토대에 ‘북한'이라는 영역을 끌어들인 것입니다. 가족학이라는 미시체계를 연구하는 저의 학문적 토대를 기초로 북한이라는 영역으로 그 학문의 영역을 확장하여, 인문학자이자 통일, 북한이주민, 사회통합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 곽상인 교수님과 북한...
[학술논문] 통일 후 남북한 군사통합을 위한 정책 제언: 조직문화 분석을 통한 조직융합관리(PMI)를 중심으로
김정은이 집권한 후로도 북한은 계속된 경제난과 내부 불만을 통제하기 위한‘선군정치’를 유지하고 있고, 이에 기반한 정책으로 한국 및 인접국과의 계속적인 갈등을 빚어 오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통일정책을 준비할 경우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북한군과의 군사통합 과정에서의 갈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본고는 경영학의 조직융합관리(PMI) 기법과 Schien의 조직이론을 활용한 학제 간 연구를 통하여 통일정국의 북한 군사조직 구성원의 심리변화를 분석, 군사통합 전후의 갈등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을 제시하고자한다.
[학술논문] 동독 이탈주민에서 서독 시민으로― 1950년대 서독의 탈동독민 통합 정책 ―
During the period of division, the number of East German Refugees and Immigrants who entered West Germany reached approximately 4.75 million. Because two-thirds of those East Germans had arrived in the West during the 1950s, West Germany had to confront a series of radical issues during this period. Although the massive escapes from the East to the West represented a burden to West German society,
[학술논문] 제18대 대통령 선거의 북한 요인 분석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북정책과 같은 포괄적인 북한요인이 후보를 선택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그 여부를 검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결과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북정책, 연령, 권역, 경제과제, 직업, 가구소득’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 결과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가지 분석기법에서 공통적으로 ‘지지정당, 대북정책’으로 분석되었다. 새누리당 지지층은 박근혜, 민주통합당 지지층은 문재인을 지지했다. 그러나 무당파층에서는 ‘유연한 대북정책’을 선호하는 응답자는...
[학술논문] ‘헌법적 정체성’ 확립의 과제와 북한이탈주민의 헌법적 지위
...접근되어야 할 문제이다. 이렇게 재설정된 탈북민문제는 모든 생활영역에서 헌법해석 및 헌법정책론 차원에서 헌법규범을 구체적으로 실현해나가는 문제, 즉 오롯이 ‘헌법문제’로 파악되고, 접근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종래 민족주의의 담론은 설득력 있는 논리를 제공하기 어렵다. 논의의 환경과 맥락은 다르지만 유용한 접근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J. Habermas의 ‘헌법적 애국심’과 연관하여 유력한 대안의 하나로 ‘헌법적 정체성’의 규범적, 현실적 효용이 주목된다. 특히 탈북민의 보호와 정착을 지원하는 단계에서는 물론이고, 향후 완전한 체제통합 후에 결코 적지 않은 사회적, 심리적 부담과 경제적 비용을 감수해야 할 남한 주민들에게...
[학술논문] 동구 체제전환국의 경제성과에 대한 문헌 연구 및 북한 관련 정책적 시사점
동구 체제전환국의 경험은 이들이 체제전환과 경제통합을 함께 추진했다는 점을 비롯해 여러 측면에서 북한의 체제전환과 남북통일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동구 체제전환국의 경제성과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환초기의 생산 감소는 생산구조 와해 등의 공급요인이 긴축정책 등의 수요요인보다 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전환 초기에는 와해된 생산구조를 시장경제체제에 맞게 재정립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성장세 전환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물가안정이 중요하다. 또한 물가 상승 원인이 국가별로 달랐던 점을 감안하여 북한도 통화량 증가, 환율 상승, 임금 상승 등 무엇이 주요 요인인가를 파악하고 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체제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