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후 표기규범 대안으로서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 검토
...사용자들은 그들의 정체성이 담긴 표기법을 일방적으로 포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안을 받아들일 확률은 상당히 낮다.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통일 후
표기
규범으로 활용하자고 주장한 것은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역사적 성격을 고려한 결과이겠으나,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조항들이 ≪한글 맞춤법≫의 사용자에게 익숙하게 느껴졌기 때문일 확률 또한 높다. 본고는 통일 후
표기규범 성립에 있어서 공정성의 문제와 사회적 효율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표기법이 사회적 낙인으로 기능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통합
표기
규범이 복수 규정을 허용하지 않는 절충안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절충안의 방안으로는 남북이 가장 합의하기 어려운 사안들을 서로 하나씩 양보하는, 이른바 표기법 빅딜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