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원시사회~발해와 후기신라’에 서술된 ‘창조의 역사’
...중국문화와 구별했으나, 문화예술 이외에 창조적 생산 활동에 대해서는 서술하지 못했다. 1983년판부터
평양 문화의 유구성과 우수성을 칭송했으며, ‘단군릉 발굴’ 이후인 1995년판 교과서에서도 계승 강화되었고 ‘조선민족제일주의’의 영향을 받아 ‘예의도덕과 풍습’이 추가되었다. 삼국시기의 문화에서는 고구려
중심
주의가 점차 강화되었고, 세계사적 관점에서 높이 평가하면서도 봉건적․시대적 한계성을 지적했다. 유교와 불교를 비판하면서도 그 영향 아래 창조된 작품들은 세계적으로도 우수하다는 모순된 평가를 내렸다. 1995년판부터는
평양과 고구려
중심
주의가 더욱 강화되었고, 불교를 기독교와 연결시켜 비판하였다. ‘발해와 후기신라의 문화’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