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협력기반을 구축하고 제 2단계에서 군사적 신뢰구축을 그리고 제 3단계에서 남북한 평화공존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로서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것이다.
요컨대, 남북 군사 관계 진전을 위한 정치?군사적 여건을 조성하고 이어서 본격적인 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제반 조치의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협의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북한 핵, 미사일 해결 합의사항의 구체적 이행과, 남북 실질 협력 심화 및 군사적 신뢰 구축 조치의 추진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마지막 단계에서는 자연적으로 남북 평화협정 체결이 가능하다.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is a requirement of the time and a realistic...
[학위논문] 1948年 平壤 「南北朝鮮 諸 政黨·社會團體代表者 連席會義」와 北韓의 統一戰線戰術에 관한 硏究
...Korean social groups excluding anticommunist groups.
In the Geneva Conference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of the Korean War, North Korea commanded a united front strategy toward the South Korean left wings and their sympathizers announcing the 6 preconditions for Korean Peace, which proposed the withdrawal of the American troops and the disarmament. During the 1960s, North Korea had tried...
[학위논문] 한반도 통일에 있어 국제법상 UN의 역할
.../>
‘제3장 한반도 평화통일과정에서 UN의 역할’에서는 남2024;북한이 합의가 가능하여 전쟁을 명확히 종결하고 통일로 가는 평화를 조성하기 위해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경우를 고려하였다 한반도 분단 및 안보상황을 규율하는 국제법인 휴전협정에 관한 諸문제, 즉 한국전쟁 및 휴전협정의 평가, UN 군사행동의 근거와 성격, 당사자문제, 협정의 효력이 문제되는 경우 등을 자세히 논의하였다 다음 북한의 평화협정 제의에 따른 UN군의 해체와 주한미군의 철수 문제, 평화협정의 필요성 및 휴전협정의 당사자와 논리적으로 연계된 평화협정의 당사자문제, 법질서에서 UN의 기능 변화에 따른 UN군의 역할 기대 등을 분석하였다D;
‘제4장 북한 위기상황 시 UN의 역할’에서는...
[학위논문] 평화협정 체결 사례와 한반도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강승관 #한반도평화협정 #한국정전협정 #종전선언 #UN사령부 #주한미군 #서해해상경계선 #전환기 정의 #이행기 정의 #북한인권 #국군포로 #2+4협정 #이스라엘-이집트 평화협정 #이스라엘-요르단 평화협정 #미국-베트남 평화협정 #캄보디아 평화협정 #데이턴 협정 #벨파스트 협정 #성금요일 협정 #코소보 협정 #남북군축 #평화통일 #peace agreements #peace treaties #the law of peace #Korea armistice agreements #arms control in Korean Peninsula #UNC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NLL #transitional justic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학위논문] 한반도 평화협정 협상 및 정착조건 연구
...갈등의 악순환 주기로 회귀하는 현상을 당연한 결과로 얻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당연한 결과는 한반도 평화협정의 이행력을 보장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상수를 변경해야 한다는 논리를 입증해 주는 것이다. 위의 세 가지 독립변수들과 합의서 이행 지속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은 한반도 평화협정의 정착 조건 중 부족한 부분을 인식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에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한반도 평화협정 정착조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갈등 선순환 모델로서의 한반도 평화협정 구현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반도 평화협정의 구속력과 이행 지속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갈등의 기원인 남북한 헌법과 조선노동당 규약에서 영토 및 통일조항을 개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