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년대 북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문화어 정책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1960년대 북한에서 진행된 문풍 운동의 언어정책적 함의를 밝힌다는 목표로 다음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문풍 운동의 출현 맥락을 살펴보면서, 언어정책으로서 문풍 운동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둘째, 문화어 제정의 맥락을 살펴보면서, 이와 관련지어 문풍 운동의 방향 전환이 갖는 의미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논의 과정에서 본고는 ‘주체사상의 확립’과 같은 정치적 맥락에 가려져 부각되지 않았던 북한 언어정책의 내적 동기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어문규범이 확정되고 사전이 간행된 시기를 언어정책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할 수 있는 분기점으로 설정하면서, 문풍 운동의 출현 맥락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표기와 어휘 단위의 규범화에 국한되었던 언어정책의 영역이 문장과 텍스트 단위의 규범화로 확장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