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서로 체면 고려않고 선 넘어 한-중 관계 악화” VS “심각한 북핵위협, 중국이 역할 못하는 것 우려”
...현재의 남-북 관계와 북-중 관계, 그리고 북한 핵문제를 어떻게 보고 있고 어떻게 풀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을까? 재단법인 통일과나눔과 연세대 중국 연구원이 지난 달 29일 공동개최한 ‘제3회 한중 전략 컨퍼런스 – 중국이 본 한반도와 한-중관계’ 두 번째 세션 ‘남북관계, 북중관계와 북핵문제’ 토론에서는 이에 대한 양국 전문가들의 분석과 입장 전망이 쏟아졌다. 컨퍼런스 두 번째 세션은 한석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이 좌장으로, 정지용 중국 복단대학교 한국연구센터 소장,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원장, 왕쥔셩 중국사회과학원 아태 및 글로벌전략연구원 연구원, 이성원 세종연구소 안보전략센터장이 패널로 참여해 토론을 벌였다.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5 통일과나눔-한국정치학회 국제통일컨퍼런스 <분단 80년과 신냉전 시대의 한반도 통일전략> 기획패널 발표(2)
"한반도는 일본 안보구상의 중심
일본, 한미일 삼자협력 재개•확대를 최우선과제 삼아야"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5 통일과나눔-한국정치학회 국제통일컨퍼런스 <분단 80년과 신냉전 시대의 한반도 통일전략> 플래너리 패널 발표(3)
"한미 전략적 대화 가속화하고
중국에 대한 입장 분명히 해야
남북 채널 재건해야 심각한 갈등 막아"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2025 통일과나눔 | 제2회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트럼프 2기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초당적 대응
...교수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과제’란 주제로 기조발표를 하고, 참석자 전원이 참여해 지정 및 자유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에는 강원택 서울대학교 교수, 고유환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권은민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병로 서울대학교 교수, 김병연 서울대학교 석좌교수, 김성한 고려대학교 교수, 문정인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민태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소장, 윤영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이영선 통일과나눔재단 이사장, 이제훈 한겨레 선임기자, 이종원 통일과나눔재단 상임이사, 이하원 조선일보 외교안보 에디터, 이혜정 중앙대학교 교수, 전경주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전재성 서울대학교 교수, 조동호...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中 전문가 “트럼프가 되면 중국 더 많은 변수와 마주할 것" 북핵 문제 “‘비핵화’ 보다 일시적 ‘핵 동결’ 받아들일 수도"
중국이 보는 미-중 경쟁관계는 어떤 것이며,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 결과에 따라 미-중 관계는 어떻게 변할까? 이런 국제정세 변화가 한반도 정세에 미칠 파급효과는 무엇이며 우리 통일에는 어떤 영향을 주게 될까? 한국과 중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중 경쟁구도와 한반도 정세 및 미국 대선이후 세계 정세 변화를 전망해 보는 컨퍼런스가 지난 달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재단법인 통일과나눔과 연세대 중국연구원은 이날 한국과 중국의 외교 안보 국제문제 전문가 15명을 초청해 <중국이 보는 한반도 정세와 한중관계>라는 주제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컨퍼런스는 1세션 '미국 정치상황과 미-중 관계, 분석과 전망'...
[뉴스] 김정은이 제목 지었다는 北 6·25영화 '72시간'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가 지난해 북한에서 개봉한 6·25영화 '72시간'을 조명해 눈길을 끈다.
영화는 6·25전쟁에 대해 '반공격'이라는 표현을 쓰며 한국과 미국에 의한 북침이라는 거짓된 주장을 바탕으로 전개된다. 제목인 '72시간'은 북한이 남침 이후 서울을 점령하는 데 걸린 시간이다.
[뉴스] 북한 여자축구, U-17 월드컵 결승서 네덜란드 3-0 꺾고 우승
(서울=연합뉴스) 이영호 기자 = 북한 17세 이하(U-17) 여자 축구대표팀이 2025 국제축구연맹(FIFA) U-17 여자 월드컵 2연패를 달성했다.
북한 U-17 여자 대표팀은 9일(한국시간) 모로코 라바트의 라바트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결승에서 네덜란드를 상대로 3-0 대승을 거두고 정상에 올랐다.
[뉴스] 국방부, 北의 한미훈련·회의 반발에 "유감…탄도미사일 규탄"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국방부는 8일 한미연합훈련 및 연례 한미안보협의회의(SCM)에 반발하는 북한 국방상 담화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이틀 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
국방부는 이날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오늘 한미의 연례적인 연합훈련과 회의 등을 비난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뉴스] 美인태사령부, 北미사일에 "불안정 초래…동맹방어 준비됐다"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미국 정부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시험발사가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지적하며 이런 도발에 맞서 한국을 방어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주한미군을 관장하는 미국 인도태평양사령부는 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우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인지하고 있으며, 동맹 및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스] 외교 2차관 "대북제재, 불법행위 차단 위해 필요시 검토 가능"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최근 미국이 추진하는 대북 제재와 관련해 필요하다면 한국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6일 연합뉴스TV에 출연해 한국도 미국의 대북 제재에 공조하는지 질문을 받고 "가상화폐 탈취의 경우 북한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전용될 수 있고, 우리 디지털 생태계에도 위협이 되므로 한미 공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군사]
...여전히 안개 속에 있는 이 위기의 시대를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하는 것일까. 무엇보다 이 위기의 근원은 무엇이고 앞으로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전쟁: 전쟁의 기억과 분단의 미래』는 전쟁의 기억을 되살리고 평화를 향한 길을 다듬기 위한 디딤돌이 될 책이다. 이 책은 『한국전쟁의 기원』으로 한국전쟁과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꿨던 브루스 커밍스 시카고대학 석좌교수가 새로운 사료를 반영하고 아주 쉬운 필치로 써내려 간 역작이다.
저자는 한국전쟁의 발단과 전개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부터 ‘저항세력’과 ‘부역세력’ 사이에서 벌어졌던 대립,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에 의해...
[정치/군사]
한국전쟁 미스터리 “6월의 폭풍”
다큐멘터리 대하소설(全3권)
이데올로기는 끊임없이 투쟁하고 惡을 양산하는 정신체계다. 6ㆍ25 전쟁은 절대다수 선량한 민중을 먹이사슬로 삼은 극단적 이데올로기 투쟁사였다.
[정치/군사]
한국전쟁 미스터리 “6월의 폭풍”
다큐멘터리 대하소설(全3권)
이데올로기는 끊임없이 투쟁하고 惡을 양산하는 정신체계다. 6ㆍ25 전쟁은 절대다수 선량한 민중을 먹이사슬로 삼은 극단적 이데올로기 투쟁사였다.
[정치/군사]
한국전쟁 미스터리 “6월의 폭풍”
다큐멘터리 대하소설(全3권)
이데올로기는 끊임없이 투쟁하고 惡을 양산하는 정신체계다. 6ㆍ25 전쟁은 절대다수 선량한 민중을 먹이사슬로 삼은 극단적 이데올로기 투쟁사였다.
[경제/과학]
...고도성장하여 대동강의 기적을 보여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된다.
북한 경제의 개발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면 한국 기업은 대북 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여기에 필요한 신규 인력의 채용을 확대할 것이다. 기업의 성장과 새로운 고용 창출이라는 기회가 동시에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북한 경제의 개발은 한국의 젊은 청년들에게 새로운 취업과 창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한반도의 미래에 대한 낙관적 태도가 확산하면 출산율도 회복되면서 한국 경제는 새로운 도약의 길로 나아갈 수 있다.
*
중국, 베트남, 인도 등 개발도상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새로운 대체 생산기지로서 북한 투자를 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포스트 차이나로 진출한 베트남, 인도와 비교해...
[학술논문]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을 통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상의 실현 방안
한반도 평화를 위해 동북아 국가들의 정치·외교적 협력이 중요하지만, 동북아 주요 삼국인 한국과 일본, 중국과 일본 사이의 역사 및 영토 갈등은 점차 확대되고만 있다. 향후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역내 국가들의 협력을 추동할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100년 전 동양평화를 위해 동북아 삼국의 정립을 주장했던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의 사상적 배경을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상에 적용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안중근 『동양평화론』은 두 가지 사상적 배경을 추구하고 있다. 첫째는 ‘세력균형(balance of power)’의 원리며, 둘째는 ‘다자간 통합(multi-integration)’의...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사회·정치철학의 특징과 현실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 1876년) 이후 한일합방(일한병합, 1910년)으로 한국(당시 대한제국)은 망국의 길로 들어섰다. 러일전쟁 개시 100돌이었던 2004년에, 100년 전 동북아시아에서 일어난 대량 살육 관련기사가 한국과 주변국의 신문지상을 장식했다. 한국의 보수 신문들은 ‘그때’와 ‘오늘’의 정세 불안의 유사성을 강조하며 국가 부강의 필요성과 한국을 보호할 수호천사로서 미국의 역할을 역설했다. 하지만 100년 전 미국과 영국 등이 일본의 한반도 강탈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은 제대로 언급되지 않았다. 한편 ‘뉴라이트’라는 새로운 우파 단체는 한국에 대한 36년간의 일제강점을 이른바 ‘식민지 근대화론’이라고...
[학술논문] 청동기~철기시대 중국 동북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상호 작용 및 족속
...南部·韓半島는 濊貊系 제 족속, 十二臺營子文化期 遼寧의 일부와 초기철기시대의 西北韓은 古朝鮮에 해당된다. 또한 內蒙古 東北部의 哈烏拉文化는 몽골 동부와 외바이칼호 일대의 족속, 扎賚諾爾類型은 익히 알려져 있는 것처럼 拓拔鮮卑族의 선계와, 黑龍江省과 吉林省 西部의 白金寶文化부터 紅馬山文化까지는 고대 중국에서 鮮卑·烏桓은 물론 東夷 제족과도 구분되는 北夷로 인식한 별개의 족속과 연관이 있다. 또한 黑龍江 하류역 러시아 경내 沿海州의 폴체문화와 그 전후는 肅愼-挹婁-勿吉-黑水靺鞨族, 黑龍江省 東南部 제 지역의 문화는 일부가 挹婁 서쪽에 있었다고 하는 寇漫汗國의 선계와 연관이 있되, 대부분 고대 중국에 알려져 있지 않은 족속과 연관이 있다. 高句麗, 夫餘, 沃沮 등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는 것과 같다.
[학술논문] 다문화가정을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감소하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 가정 어머니들의 자녀양육행동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북한 이탈주민 가정 어머니들의 부모역할 만족도는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 교회는 전도와 교회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북한이탈주민 사역에서 그들의 본질적인 마음의 변화 및 신앙에서의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체제를 수립해야 한다. 둘째, 남한에서 자녀양육을 하는 북한이탈주민 가정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해야 한다. 셋째, 기독교는 남한과 북한의 극단적인 두 사상의 대립을 해소하고 이...
[학술논문] 한반도 및 동북아의 잠재적 안보위협 평가
최근 한국과 미국에서는 대통령 선거가 있었다. 민주주의 국가로 대통령제를 채택한 한국에서는 기존 집권 정당과 정치 세력이 승리하였고, 미국에서는 오바마의 승리로 정권 교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권력 교체는 한국과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민주주의 의원내각제 국가인 일본에서는 총선을 통해 기존 정권보다 보수적인 성향을 띄는 정당이 권력을 장악하였다. 민주주의 체제가 아닌 중국에서도 정기적인 선거가 아니라 다른 방식으로 권력 승계가 이루어지면서, 이른바 “5세대”가 집권하였다. 북한에서는 최악의 방식인 “권력 세습”을 통해 김일성 3세인 김정은이 집권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변화 속에서 한미동맹은 더욱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전쟁 직후에 체결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