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기본법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 한글전용의 강제를 중심으로
이 글은 한국어의 기본을 세운다는 명분하에 한글 전용(專用)의 강제를 규정한 국어기본법이 위헌⋅무효임을 논증함을 목적으로 한다. 공용어인 한국어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에 속하는 까닭에 헌법의 명문규정여부에 상관없이 헌법(관습헌법)의 일부다. 주권의 담당자인 대한민국 국민은 바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국회입법인 국어기본법이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 작성에서의 한글전용강제장치와 초중고 공교육에서의 한글전용강제장치를 통하여 한국어에 관한 관습헌법에,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해야 할 국가의 책무를 규정한 헌법 제9조에, 국민에게 최고의 교육을 제공해야 할 국가의 책무조항(헌법 전문, 제31조 등)에, 국민의 교육권(학부모의...
[학술논문]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
...지향하기 위해 표준 한국어에 대한 연구와 다양화된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병행 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역이민의 수요자 증가 등 성인의 유입으로 보건대 평생교육 차원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한국어뿐만 아니라 직업 한국어, 문화 한국어 등의 평생교육적 지원을 위한 교육 기관의 확보와 교사 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다중언어 사회의 변화와 그 역사가 축적되어 감에 따라 한국어의 다양화와 한국어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대비하는 한국어 교육의 연구와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개인의 책임 또는 언어학적 능력의 관점에서 주로 보는 인지적 접근 방식으로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성과가 축적되었다면...
[학술논문] 통일 시대 어문 교육의 방향
...communication-oriented, not nationality-oriented. It is not much different aspects in anguage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n 'Public about Language(言 衆)' of literary education policy. But It is much different aspects in literature of South and North Kore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n 'Korean Teacher(敎師)' of literary education policy.
[학술논문] 재외동포 현지 교과로서의 ‘조선어’ 교과의 복합적 위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사정을 고려하지 못한 공급자 중심의 교재 제작으로 이들은 현지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 개발에 참여했거나 한국어교육의 실행 주체인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제안 사항이나 주의 사항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논문]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맞춤형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청소년을 지원하는 8개 기관의 행정가 및 교사 총 1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환경 분석 결과,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은 한국 입국 당시 일반적으로 기초적인 한국어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학습 결손을 보완하고 검정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입국 후 약 2~3년 동안 집중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재 개발의 주된 대상 집단을 만 14세 이상의 청소년으로 설정하였으며, 교재 개발의 구체적인 방향으로는 (a) 자립적인 한국 생활 적응을 지원하는 교재, (b) 일반 지식 및 상식 확장을 위한 교재, (c) 교과 학습에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