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핵 잠재력과 전략적 효용성 : 주요 사례, 한국 안보에의 시사점
특정 국가가 핵 잠재력을 추구한다는 것은 핵무기의 개발, 제조, 운용을 위한 기술적 역량을 확보 및 유지하는 가운데, 직접·공개적인
핵
무장은 보류, 자제하는 것을 뜻한다. 이는 핵무기를 실제 보유하지 않고서도 그에 준하는 정치·군사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기대, 그리고
핵
무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부담을 회피하겠다는 의도를 반영한다. 이스라엘과 일본은 이러한 핵 잠재력 구축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북한의
핵무장 위협 고도화에 따른 대응책으로서
핵
무장에 관한 요구, 주장이 강화되는 추세지만, 이는 현실적인 선택이 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은 동맹 미국과 국제사회의 양해, 지지를 전제로, 핵 잠재력의 확보를 대안으로 추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