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 미래] 마황 살구씨 뽕나무뿌리 등으로 만든 '정천탕' 코로나 치료에 사용 북한 의사 70% 이상이 고려의학(한의학)으로 환자 치료 처방
“마황 12그램, 살구씨 6그램, 끼무릇, 속썩은풀뿌리, 뽕나무뿌리껍질, 차조기씨, 관동화 감초 각각 4그램, 은행씨 21그램을 섞어 탕을 만든다. 이를 ‘정천탕’이라고 하는데 고열 및 기침에효과적이다.”
#통일과나눔 #통일과미래 #남북통합정책연구 #남진현 #남북보건의료 #남북임상의약품 #김희진 #엄주현 #유경숙 #이미지 #북한의약품정책 #남북의약품비교
[경제/과학] 북한 보건의료 연구와 교류협력
북한의 코로나19 창궐은 북한 주민, 특히 취약계층의 건강과 영양 상태에 심각한 위협을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긴급구호뿐만 아니라 북한 보건의료의 회복탄력성과 중장기적 내구성을 지원할 수 있는 대북활동들은 매우 미흡한 안타까운 상황이다. 한반도의 현실에서 생명의 무게는 다르다는, 인정하고 싶지 않은 진실을 그냥 바라만 보고 있을 것인가? 그럴 수 없기에 이 책이 기획되었다. 우선 북한의 보건의료 현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그간 북한의 보건의료 현황을 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의료체계 등 제도적 차원의 접근이거나 외국의 통계자료들이 주로 활용되었으며, 방북 경험이나 일부 탈북 의료인들의 주관적인 진술에 의존하는 방식이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일보건의학 협동과정은 2008년부터 북한이탈주민
#북한보건의료 #북한의학 #김경진 #김동수 #김신곤 #김영훈 #도원영 #김윤환 #남성욱 #노경란 #노승영 #류재준 #명수정 #박영혜 #서해숙 #송태진 #신나미 #유시은 #윤석준 #이승헌 #이요한 #이헌정 #장영우 #전미라 #전영선 #전진용 #조철현 #최현규 #하신 #한준희
[학술논문]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45-1958): ‘소련배우기’와 ‘주체적’ 발전의 틈새에서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ist camp’s North Korean medical support and its effects on North Korean medical field from liberation to 1958. Except for the Soviet assistance from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existing studies mainly have paid attention to the ‘autonomous’ growth of the North Korean medical field. The studies on the medical support of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전시의료지원 #동구권의료 #중의학 #소련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동독 #중국 #한의학 #중서의통합 #김진혁, 문미라
[학술논문] 『조선보건사』를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통의학 인식- 근대 이전 의학사를 중심으로 -
Object : 『조선보건사』의 의학사 기술에 나타난 북한의 관점을 검토하여 이 책의 의의를 평가하고, 전통의학에 대한 북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Method : 『조선보건사』 「제1편」의 내용에 나타난 역사 서술의 관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의학사』, 『 한의학통사』 등 남한의 의학 사서와의 비교를 통해 이 책의 특성을 명확히 드러내고자 하였고, 북한 내 역사연구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선통사』와 북한의 전통의학 관련 사전 및 학술잡지를 검토하였다. Result Conclusion :『조선보건사』에 나타나는 역사관은 크게 국가 중심의 역사관, 유물사관, 민족주의적 역사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북한의 주체사상을 이루는 핵심요소들로서 의학적 사실의 해석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보건사 #홍순원 #고려의학 #동의학 #북한 #신상원 #김종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