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고찰(1) - 근대기, 남북한 서예문화 분화 초창기 현황 고찰
...특히 강조하였다. 또 민족주의계열과의 사상적 배경 등과 차이로 교육현장에서 남북간 서예문화에 대한 분화조짐이 점차적으로 조금씩 노출된 것이 확인된다. 셋째, 해방이후 해방공간에, 북한은 일제강점기 압제상황에서 민족어인 한글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닫고, 또한 모든 인민이 쉽게 배우고 소통할 수 있는 한글의 효용성을 인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①한글전용 ②
한자
폐지 ③한글가로쓰기 ④한글연구사업의 토대마련 ⑤표준어 개념의 재정의 등의 사업을 공식화하여 한글교육을 강화해 나간다. 이로 인해 문자예술인 서예가, 북한에서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한문서예가 배재되고 거의 한글서예로만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된다. 이를 계기로 남북한 서예문화 분화에 이은 이질화가 심화되면서 오늘날 이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