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의 사회-기술적 네트워크와 수행적 분단
...이질적인 사회-기술적 행위자들의 결합을 통해 끊임없이 행해지는 ‘다중적 실재들(multiple realities)’이란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이 논의를 위해, 우선 분단 인식의 프레임과 다이어그램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분단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의 문제화가 주로 ‘안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사회-기술적 과정의 산물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둘째, 북한의 핵무기를 북한의 비정상성으로 설명하고 소비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분단을 어떻게 수행적으로 구성해 내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핵무기의 ‘사회-기술적 장치’(socio-technical device)를 기술 시스템 접근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통해...
[학술논문] 천안함 사건의 행위자-네트워크와 분단체제의 불안정성
이 글은 ‘천안함 피격의 행위자-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천안함 사건에서 드러난 분단체제의 세 가지 속성(불안정성, 행위자-네트워크의 행위자-네트워크, 수행성)을 제시하였다. 천안함 침몰이 발생한 뒤, 한국 정부는 ‘북한 어뢰에 의한 천안함 격침’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천안함 피격의 행위자-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 사회에 문제제기를 하였다. 한국 정부는 사건 직후 내부의 혼란 때문에 조사와 문제제기를 순조롭게 추진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 정부의 문제제기는 정부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과 정부 조사단 사이의 과학논쟁을 거치면서 애초에 의도한 행위자-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학술논문] (탈)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탈북자들의 정체성이 ‘증식’된다. 국가 간 경계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이들은 상황과 조건에 맞는 새로운 ‘자기’를 증식하며, 서로 다른 정체성이 공존하고 있다. 셋째, 반복적인 이주를 통해 새로운 삶을 기획하고자 하는 탈북자(인간행위자)와 분단장치, 관련국가의 이주체제, 전 지구적 압축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통신기기 등과 같은 사물행위자들의 동맹에 의해 탈북-탈남-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넷째, 탈북자들이 중국을 거쳐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국적을 취득한 후, 다시 타국의 난민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한반도의 분단장치가 이들의 정체성 증식과 정체성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자원’으로 번역되고 있다. 다섯째, 국민과 난민의 패러다임을...
[학술논문] 북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이중구조와 북한정권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독특한 성격 자체에 의거하여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일률적으로 묘사해왔다. 이 글은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전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북한이라는 국가 행위자가 작동하는 북한 국내외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조건을 면밀히 고찰할 것을 제시한다.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북한당국 중심의 수직적 선전 커뮤니케이션과 탈북자, 탈북 브로커, 상인, 밀수업자들과 같이 국경선을 넘나들며 내부·외부정보를 유출입시키는 초국가 행위자들에 의한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질적 커뮤니케이션의 작동은 국제적으로 폐쇄된 북한 커뮤니케이션을 열린 네트워크로 작동하게 했는데, 그 결과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된 커뮤니케이터로서의 북한은 깡패국가, 거짓말쟁이라는 실추된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미디어 매체를 통해 국제청중에...
[학술논문]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과 북한연구방법론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은 1980년대초반 등장 이후 최근까지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사회과학, 인문학, 지리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학술적 이론이다.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은 사물과 인간,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적 존재론으로 구축된 근대주의에 대한 비판과 함께인간과 비인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세계에 대한 인식을 제시하는 것을통해 새로운 인식론적·방법론적 논쟁과 성찰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논문은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이 사회과학과 북한 연구에 주는 인식론적성찰과 방법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이 제시하는 주요 문제의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