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사회·정치철학의 특징과 현실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 약 100여 일에 가까운 촛불시위와 네티즌들의 대정부 비판 글에 대해 일본의 교오도(京都)대학 대학원 모 교수는 “조선왕조에서 성균관이라는 국립중앙유교대학의 엘리트들은 왕에게 직소(直疏)할 일이 있으면 광화문에 모여 데모를 해 잘못한 왕을 바로잡았으며, 그런 전통은 지금도 살아있다.”고 하였다. 또한 “일본의 유교는 혁명사상이 없는데 비해 한국의 유교 전통은 윗사람이 도덕성이 없을 때 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정치개혁, 즉 ‘경장은 혁명과 수성보다도 더 힘들다.’고 했다. 그러나 시대상황에 알 맞는 개혁이 없다면 그 조직이나 나아가 국가 왕조도 내분과 외침에 의해 망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한․중․일의 선린우호...
[학술논문] 월북예술인 김태진과 발굴희곡 <임진왜란>(1946) 고찰
...‘전망’을 제시하는 연극으로 재현되었다. 진보적 리얼리즘을 창작론으로 하여, 조선 사회의 오래된 병폐를 적나라하게 재현하고 새로운 역사의 혁명적 세력을 백성과 민중에게서 찾았다. 해방기 조선사회가 호출한 이순신은 왜적이라는 국가 외부의 적보다 권력쟁투에 몰두하는 지배계급과 당쟁으로 점철된 조정에 의해 희생당하는 외로운 영웅이다. <임진왜란>은 400년 전 임진왜란 당시의 과거를 향한 시선이 연극적으로 재현된 것이지만, 해방기라는 현재의 좌절과 미래의 불안이 상호 연루된 시간성을 담고 있는 희곡이다. 이 작품에는 돌이킬 수 없는 과거의 오욕과 임진왜란 승전의 노스텔지어를 반제국주의 해방과 프롤레타리아 혁명 사상을 고취하는 투쟁의 무기로 삼고자 했던 조선연극동맹과 좌익 연극인의 욕망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학술논문] 제8차 당 대회 정치 분야 결정 사항 이행 과정과 평가: 당의 영도적 역할과 김정은 위원장의 유일적 영도체계 강화를 중심으로
...역할과 유일적 영도체계 강화를 위한 지난 4년 동안의 정책집행 이행 과정 분석과 평가를 통해 제9차 당 대회의 정치 분야를 전망하는 것이다. 제8차 당 대회 정치 분야 결정 관철을 위해 북한이 가장 심혈을 기울인 것은 바로 당-국가회의체의 주기적 개최였으며, 이를 통해 결정 관철을 위한 사업 점검, 총화, 검열, 지도를 이어가고 있다. 북한이 김정은동지의 혁명사상을 지도사상 및 지도적 지침, 이론적 체계 구축, 온 사회의 일색화의 속도를 높이는 것은 바로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정교하고 강력한 정치·사상적 방어기제를 온전하게 만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김정은 위원장의 현지지도 단위에 건립한 단독 표식비, 혁명사적비 등 정치적 상징물들은 ‘김 위원장이 통치하는 북한’이라는 인민들의...
[학술논문] 분단체제 속 사회주의 활동 집안의 가족사와 트라우마
... 봉강을 비롯한 가족들은 최고의 엘리트인 정해진의 사회주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해방 이후 한국 분단의 상황에서 고통과 피해를 당한다. 가족 구성원들의 급진적인 행동은 정해진의 교조적인 혁명사상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이들에게는 고귀한 자신의 목숨보다는 이데올로기가 우위에 있었다고 볼 수 있으니, 이는 혁명사상에의 강박증으로 읽힐 여지가 크다. 반대로 사회주의 혁명사상에 부합하지 못한 경우는 극도의 공포와 소외감으로 정실질환을 앓게 된다. 정해룡의 아내와 두 아들이 그러하였다. 집안의 사회주의 혁명사상을 올곧게 수용하지 못한 가운데, 탄압에 대한 공포감이 가중되어 발병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들도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이 간직한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분단체제 속에서 왜곡되고...
[학술논문] 북한 종교 정책에 따른 신앙생활 실천방안
...사회에서는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지 않고 있으며, 북한의 신앙에 대한 태도는 해방 직후부터 사회주의 혁명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생각했으며, 사회주의 건설 이용의 목적으로써 헌법형법을 수정하며 부분적으로 허용하였다. 주체사상은 1980년 제 6차 당 대회를 통해 북한정권은 당 규약 전문에 “조선 로동당은 오직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주체사상, 혁명사상에 의해 지도 된다.”라고 명시함으로써 주체사상은 공식적인 정치지도 이념으로 규정되었다. 또한 1982년 12월 17일 김정일은 ‘주체사상에 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철학적 견지에서 보다 구체화함으로서 김정일과 김정일의 지위를 확보하는 논리를 성립하였다. 기독교 종교정책 변천과정에서는 회유와 억압 병행기(1945~195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