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南北韓 經濟交流가 韓半島 平和增進에 미치는 效果 分析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s that, first, the trade on North Korea by South Korea has shown a great increase, but the trade ratio on South Korea by North Korea has been maintained a very low level. As the combined result of such a contrasting trading ratio, the trading consid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in low level. Second, the trading symmetry of South and North Korea shows...
[학술논문] 김정은 시기의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의 유형과 변화 양상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nvasion and provocation of South Korea from 2009 to 2018 when Kim Jong-un appeared on the front of the North Korean regime, examin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and analyzes the nature and cause of provocation. It will help to find the direction to maintain and develop the types and frequencies of invasion and provocation of South Korea, which are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임상군의 정신건강지표 및 신체활동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예비연구
...7th quest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Trouble concentrating on things, such as reading the newspaper or watching television over the past two weeks,” showed the highest gain ratio by 84 perc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cision tree, this single index may distinguish between the clinic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A clinician may conduct a more effective interview with...
[학위논문] 후견국의 동맹 관리 딜레마 -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지 못한 원인에 대한 연구 -
본 논문은 후견국으로서 중국의 대북한 동맹 관리를 분석하였고, 중국이 북한 비핵화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원인을 중국의 낮은 협상력에서 찾았다. 동맹과 핵확산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북중동맹의 사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는 이론기반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이를 고찰하였다.
동맹 관리와 핵비확산 간의 관계를 다룬 이론에서 얻은 통찰력으로 본 논문은 북한의 대중국 군사적 의존도를 하나의 변수로 놓고, 중국의 대북한 이익 공약의 강도를 또 다른 하나의 변수로 간주하여 그 변수들간 결합이 중국의 대북한 협상력을 결정한다는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동맹 관리의 결과는 동맹국 간 상대적 협상력에 따라 결정한다. 이러한 틀 속에서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지 못한 원인을 설명하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