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탈냉전기 북한의 적(敵) 담론 : 외무성의 대미(對美) 위협 인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탈냉전기 위기 극복 차원에서 이뤄진 북한의 적 담론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외부에 대한 위협 인식은 내부결속을 높이는 수단 중 하나다. 이 연구는 북한이 대미 위협 인식을 강조함으로써 지배 권력의 정당성을 추구했다는 판단에서 출발한다.
연구의 핵심 분석 자료인 외무성 담화문(성명)에는 북한의 대외 인식 등이 담겨있다. 연구에서는 분석 자료에 나타난 대미 위협 인식 관련 용어와 사회적 맥락, 개념 등을 살폈다.
분석 기간은 탈냉전이 시작된 1989년부터 2017년까지다. 세부적으로 담론 1기(1989-1998)와 2기(1998-2008), 3기(2009-2017)로 구분했다. 분석 기간에 북한은 ‘우리식 사회주의’를 비롯해 ‘선군’
[학위논문] 김정은 시기의 핵전략 변화 연구 -대외환경과 김정은의 선택-
미국과 중국은 국제체제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힘이 있고 약소국인 북한은 국제체제의 구조에 적응해야 한다. 핵을 가진 약소국인 북한 김정은 정권의 핵전략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김정은 정권의 핵전략 변화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 관점에서 김정은 핵전략의 변화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약소국에 불과한 북한 김정은 정권은 대외환경 변화라는 국제체제의 구조적 압력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어떻게 내부의 핵·미사일 동원능력을 활용하여 어떠한 핵전략을 추진하였는가를 추적하였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미국의 상대적 국력은 쇠퇴하고 중국의 국력은 부상하면서 미·중 간 우호적
#신고전적 현실주의 #미·중 관계 #북·미 관계 #재균형 전략 #중국몽 #확증보복 핵전략 #통합억제 #국제연대 #신냉전 #외적균형 #이중억제 핵전략 #Neoclassical realism #US-China relations #North Korea-US relations #rebalancing strategy #Chinese dream #assured retaliation nuclear strategy #integrated deterrence #international solidarity #new cold war #external balancing #dual deterrence nuclear strategy #소현철
[학술논문] Managing a Nuclear North Korea: Perils, Principles, and Policy Proposals
North Korea’s military capabilities and intentions are more transparent than ever. So, too, is the threat posed by Pyongyang’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s to the United States and its regional allies.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leader Kim Jong Un has clearly described the future trajectory of Pyongyang’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development
[학술논문] Case Study of a Korean Archaeological Survey using LiDAR
...applied LiDAR technique for archaeological research with findings of significant implica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archaeological studies using LiDAR in South Korea. Although there were studies of reconstruction and restoration of damaged mountain fortress walls or past topographic features using aerial archeology, there have been no tangible research outcomes using LiDAR to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