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orth Korea expanding naval base amid uncertainty over new warship deployment
North Korea is expanding a naval port on the east coast where leader Kim Jong Un inspected one of the country’s newest strategic warships last year, according to NK Pro analysis of satellite imagery, though questions remain over the deployment status of the new class of ships.
[뉴스] 북한, 독일 유엔사 가입 비난…"한반도 군사·정치 정세 악화할 것"
북한이 독일의 유엔군사령부(UNC, 유엔사) 가입을 비난하며 "한반도 군사·정치 정세가 악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술논문] A Review of the Chinese, Russian, US and EU Strategies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2006-2012
This study attempts to better understand the recent history of the different strategies adopted by four key regional and world players–China, Russia, the US and the EU–toward the Korean Peninsula. It also uses this analysis to infer trends in these strategies, so that we may get a better idea of what to expect in the near future. Since research shows that in the absence of some form of
[학술논문]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 프로그램과 청취 양상
이 연구는 미 극동사령부 심리전부대가 한반도를 대상으로 운영한 심리전 방송이었던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의 1960년대 프로그램 제작과 편성 및 청취자의 청취양상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60년대 VUNC 프로그램은 심리전 방송 목표에 맞춰 뉴스, 뉴스에 대한 해설, 음악프로그램 및 특집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오키나와 기지국, 일본파견대 및 한국파견대에서 제작한 방송프로그램은 한국 파견대로 모아져 서울 기지국, 강화도와 철원에서 송출했다. 북한의 경우 군과 민간인 엘리트들은 물론 일반인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VUNC를 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엘리트층과 젊은이들 중심으로 청취자 집단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런 청취자 집단은 VUNC가 목표로 설정한 남한 대상 수용자의 범위와 대부분 일치한다는
[학술논문]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 탐지를 위한 해상 센서플랫폼의 배치에 관한 연구
본 논문은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탐지를 위한 해상 센서플랫폼의 배치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북한은 SLBM의 수중 사출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국제사회에 심각한 안보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동이 가능한 해상 센서플랫폼은 SLBM의 탐지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형적인 레이더 센서체계의 최대탐지거리 특성은 표적의 비행궤적과 레이더 반사 단면적(RCS)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SLBM의 전술적 특성에 따른 비행궤적을 분석하고, RCS를 계산하였다. 또한 센서 플랫폼의 위치에 따른 탐지 시간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SLBM을 탐지할 수 있는 해상 센서 플랫폼의 위치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An integrative theoretical perspective on Russian organized crime
This article attempts to propose an integrative theoretical perspective, which can explain the organized crime phenomenon in the 1990s Russia and other Soviet republics. Various theoretical explanations had been appeared for the plausible explanation of that phenomenon. This article reviews those existing explanations and integrates them. The concept of predatory man, the state, anomie, means-ends
[학술논문] 6․25전쟁 초기 춘천지구 전투의 재분석과 평가
6․25전쟁 초기 방어전투 중 유일하게 성공한 춘천지구 전투를 재분석 하여 전투 성공요인과 의의를 재평가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그동안의 연구결과는 한국군의 입장에서 분석된 사항으로 북한군의 기습남침에 맞서 초기 방어전투의 성공적인 면과 북한군의 단기속결 의도를 좌절시킨 전투로 집중 조명되어졌다. 이번 연구는 북한군 남침 작전계획을 고려하여 김일성의 전략적 방침과 연계하여 춘천지구 전투를 재분석해 보고자 한다. 즉 북한군의 남침계획과 연계하여 적전술의 입장에서 재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춘천지구 전투가 6․25전쟁에 어떠한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김일성의 전략적 방침에 의거한 북한군의 작전계획을 초기전투에서 한국군 제6사단이 분쇄하였다는 점에서 전술적 승리 이상의 의미가 있다. 춘천지구 전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