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통일축제UniKoreaFestival] Ep.1 한반도 지정경의 가치를 활용한 미래비전 l 김지수 대표
혼돈 속에 새로운 질서를 찾아서
Searching New Order In Chaos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통일과나눔-美스팀슨센터 38 North 온라인 세미나 <한반도의 비전통적 안보 과제: 사이버 안보>
[통일과나눔-美스팀슨센터 38 North 공동 주최 비공개 온라인 세미나] 6/4(화) 오전8시
한반도의 비전통적 안보 과제: 사이버 안보
Nontraditional Security Challenges on the Korean Peninsula: Cyber Security

비전통적 안보 사안인 사이버 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발전시킬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오는 6월 4일 화요일 오전 8시-9시(KST), 통일과나눔-美스팀슨센터 38
[뉴스] 러시아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방러 가능…남북승인 가장 중요"
1990년대 출소한 비전향장기수 안학섭(95)씨의 러시아를 경유한 북한 송환 요청에 러시아 측이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고 회신한 것으로 파악됐다.
22일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에 따르면 주한 러시아대사관은 지난 20일과 전날 각각 이메일과 등기를 통해 송환추진단의 '안학섭 선생 인도적 송환 관련 면담 요청' 공문에 답변을 했다.
[뉴스] 통일부 "비전향장기수 송환이 기본방침…北의사 확인 필요"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통일부는 16일 비전향장기수 안학섭(95) 씨가 제3국 경유 북송 지원을 요청한 데 대해, 비전향장기수 송환 추진이 정부의 기본 방침이라면서도 북한의 의사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으로부터 관련 질문을 받고 "인도적, 인간적 차원에서 비전향 장기수의 송환을 추진해나간다는 게 정부의 기본 방침"이라며 "북한과 협의 문제 등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뉴스] 北 KN-23 탄도미사일에 극초음속 탄두 장착…대남 위협 가중(종합)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북한이 남쪽을 겨냥하는 무기의 성능을 더욱 개량해 위협 수위를 높였다.
조선중앙통신이 5일 보도한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2025' 관련 보도 사진에는 '화성-11마'라고 적힌 미사일 탄두가 포착됐다.
화성-11형은 북한의 대표적인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인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의 제식 명칭이다.
[뉴스] 北전시장서 김정은 옆에 있던 ICBM…신형 '화성-20형'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북한이 이달 초 무장장비전시회에서 선보였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화성-20형'이라는 분석이 12일 제기됐다.
북한은 지난 10일 조선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최강의 핵전략무기체계"라며 화성-20형 이동식발사대(TEL) 3대만 보여줬을 뿐 실제 미사일은 공개하지 않았는데, 이미 지난 4일 평양에서 개막한 무장장비전시회 '국방발전 2025'에서 화성-20형으로 추정되는 ICBM이 공개됐다는 것이다.
[뉴스] 김정은 위협성 발언에…與 "대화 화답바라"…野 "강경대응해야"
여야는 5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평양 무장장비전시회 연설에서 대남 위협성 발언을 한 데 대해 상반된 입장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은 북한에 평화를 위한 협력을 촉구했고 국민의힘은 정부의 강경한 대응을 요구했다.
[사회/문화]
[통일/남북관계]
...이것으로 필자의 통일 인생을 마무리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번 회고록적 정리는 40년간 통일 여정의 인생을 한 번 매듭짓고 나서 앞으로 여생을 또 다시 ‘통일 화두’를 재장전하고 줄기차게 나아가고자 스스로 다짐을 해보기 위함이다. 순수한 마음으로 통일운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하는 민간 인사들을 존경하며 함께 동행하고자 한다. 미래 통일의 비전을 머리와 가슴에 담고 준비하고 도전하는 젊은 세대들과 함께 호흡하고자 한다. 부정적인 통일 환경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순수한 민간 통일운동이 우리가 바라는 미래 통일의 의지와 희망이다. 최근 북한 측이 남북한은 ‘하나의 나라가 아닌 별개의 두 개의 나라’라고 선포했지만 통일은 함부로 포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민족...
[정치/군사]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우남 이승만의 연설(1948~1949년)을 모았다. 이 책은 대한민국의 건국과 초기 발전 과정에서 이승만 대통령이 펼쳤던 비전과 지도력을 재조명하고 그의 정치ㆍ사회ㆍ경제적 공로를 이해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연설문을 읽노라면 대한민국이 봉착했던 난제와 이를 극복해낸 이승만 대통령의 대응책, 그리고 그가 꿈꾸었던 국가의 미래에 대해서도 깊은 통찰을 얻을 것이다.
대통령의 연설은 단순한 문헌 차원을 넘어, 그가 추구한 자유와 민주주의의 가치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반추하고, 대한민국의 발전에 대한 염원과 의지, 국민에 대한 깊은 애정을 공감케 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다. 모쪼록 이승만 대통령을 재조명하고 현재와 미래를 성찰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자료가 되길...
[경제/과학]
『신남북경제협력 기업전략』은 한반도 신경제협력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며, 남북한이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심도 있게 분석한 책입니다. 저자들은 신남북경협을 위한 기업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제1부는 남북경제협력의 대내외 환경 분석에 대해서 다룹니다. 제1장에서 오종문 박사는 ‘한반도 국내외 정세변화 영향’에서 한반도의 정세 변화와 글로벌 경제 흐름 속에서 남북교역의 역사적 의의와 잠재력을 재조명합니다. 특히, 남북 간 교역이 평화와 번영을 촉진하는 핵심 동력임을 강조합니다.
제2장에서 김종경 이사는 ‘글로벌 신산업 현황과 신남북경제협력 기회’에서 디지털 전환, 재생 가능 에너지, 바이오테크놀로지 등 신성장...
[정치/군사]
...대한민국,
지금 멈추면 ‘피크 코리아’는 현실이 된다.
이대로 쇠퇴할 것인가, 도약할 것인가!
국가 비전의 마지막 단계, ‘강대국 대한민국’을 위한 전략 설계서
대한민국은 왜 아직 강대국이 되지 못했을까?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이근 교수는 그 이유를 ‘비전의 부재’에서 찾는다. 『2030 대한민국 강대국 시나리오』는 지금이야말로 정치권과 지식 사회가 앞장서서 강대국이라는 담대한 비전을 제시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이 책은 대한민국이 약소국에서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자유주의 국제질서에서 찾으며, 앞으로도 그 질서를 지키고 확장해야만 진정한...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사회·정치철학의 특징과 현실 -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국가민족의 반(半)노예시대를 미화하고, 새로운 교과서를 집필하여 광복 후 독재와 군사쿠데타와 그 정부들을 찬양하며 아직도 친일파 청산을 가로 막고 있다. 현재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도도한 흐름이 세계를 휩쓸고 있다. 우리를 둘러싼 내외의 현실은 여전히 급박하고도 어렵다. 안으로는 정치권이 개혁을 위한 구체적 비젼이 실종된 가운데, 곧 밖으로는 경제적 공황이란 위기가 닥쳐올 지도 모른다는 불안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한편 북한의 핵실험과 한미 합동군사훈련 등으로 전쟁의 불안이 존재한다. 지난 1세기 동안 한반도의 운명을 좌지우지해온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열강의 입김은 여전히 줄어들지 않았다. 현재 중국은 티베트 시짱주(西藏族) 자치구와 신장위구르(新疆維吾爾)...
[학술논문] Building a Peaceful East Asian Community: Origins of a Regional Concept and Visions for a Global Age
...China,Taiwan, and Japan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uch a community via sociocultural approaches. I trace the conceptual origins of East Asia and its historical place in international relations,investigate East Asia in the post–Cold War era through renewed cultural exchanges among the region’s countries, and propose a vision of and tasks for an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학술논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본질, 현상, 그리고 전망: 게임이론을 통해본 북한 핵문제
...최초로 프랑스 위성에 의해 발견된 이후 30년에 가까운 국제사회의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악화되는 경로를 밟아 왔다는 점에 문제의 본질이 있다. 본 논문은박근혜 대통령이 여권의 유력 후보자 중의 한사람이었던 2011년 당시 발표된 신뢰정치(Trustpolitik)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최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그리고 “비전 코리아 프로젝트”로 요약된 박근혜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게임이론을 통해서 분석한다. 다음으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표명이 있은 이후 북한의 대응을 게임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남북관계의본질, 특히 북한의 정책선택에 핵심요인에 대해서 논의를 제기한다. 즉, 북한의 선택에 대한핵심에 기초하여 북한의 향후 대응에 대한 전망과 우리의...
[학술논문] Re-envisioning Christian Mission between the Two Koreas Beyond the Construct of Self and Other
From the time when a ceasefire between the two Koreas was declared without an ensuing peace accord, the war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prolonged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for more than fifty years. Recently, the ten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even more escalated, as Pyongyang threatened to shut down the Kaesong Industrial Park run jointly by the two countries. In the presence
[학술논문]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추진전략
...둘째, 비핵화 진전여부에 따라 점진적․단계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핵화 진전 이전단계에는 기존의 교류협력사업을 복원하는 데 주안을 두고, 개성공단 사업의 재개하여 국제화를 추진하며, 5.24조치의 해제로 남북교역과 금강산․개성 관광사업을 재개하면서 북한의 도발억제와 비핵화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비핵화 진전 이후단계에는 ‘비전 코리아 프로젝트’와 금강산-설악산을 연계한 국제화된 관광사업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북한으로 하여금 국제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남북기본합의서」에서 기 합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과 ‘군사적 신뢰구축’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박근혜 정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