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hen Authoritarianism Survives: North Korea vs. Libya
The North Korean regime has managed to survive for three generations of leaders without essential changes. The regime’s long survivability has been explained by its intrastate factors, such as Juche ideology, unrestricted power of the leader, reliance on military, dependence of interest groups on the regime, limited liberal reforms, or the degree of country’s isolation from the outside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북한 소학교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educational opportunities due to their regional origin and family economic status. Secondly, as for relations with teachers, participants routinely experienced a ‘stagnated culture’and authoritarianism at elementary schools in North Korea. Despite such negative aspects ofteachers, participants evaluated their teachers very positively overall. As for friendships,participants formed hierarchical...
[학술논문] Cyber Panopticon : How North Korea Violates Human Rights Through Digital Surveillance
...to tighten control over populations, with North Korea serving as a prominent example of this trend. This study adopts a qualitative approach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 implements digital authoritarianism and how these technologies exacerbate human rights violations. By examining practices such as biometric surveillance and AI-driven monitoring, the study assesses their impact on human rights....
[학위논문] 냉전기 북한의 진영외교 전환에 관한 연구
...policy has secured ‘autonomy' and 'quickness’ in international policy decision making prior to the dissolution of the Cold War while completing ‘North Korean style’ authoritarianism including Kim Il-sung centered dominance of the 'Man-Ju Pa' regime the heavy industry-first economic line and nuclear expect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im Jong-il succession.Currently...
[학위논문] 유엔의 대북 무기 금수 위반 요인 분석 : 아프리카 사례를 중심으로 2006-2018
유엔 안보리는 2006년 이래 북한이 국제사회의 설득과 압력에도 불구하고 6차례 실행한 핵실험을 세계 평화와 안보에 위협으로 규정하고 북한에 대해 무기 금수에서 시작하여 무역 등 경제 전반에까지 제재를 확대해 왔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유엔의 무기 금수 제재에 관해 여타 지역에 비해 가장 빈번하게 제재 결의를 위반하고 이행보고서 제출이 부진한 등 비협조적인 것이 유엔 제재 감시 위원회 보고서에 나타났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행태의 요인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아프리카와 북한 간 협력 관계의 역사적 측면, 자유주의 이론에 따른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내 정치 제도적 측면, 그리고 북한과 무기 거래의 편익적 측면에서 접근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적 측면에서 북한과 사회주의 이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