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경제난 이후 북한의 금융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 상업은행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금융제도를 도입하면서 기대한 정책목적이 무엇이었는지 추정해보고, 정책목적이 실제로 달성되기 위한 조건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더불어 북한의 금융주체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사금융을 포함할 경우의 주어진 제도와 정책목적 하에서 최선 및 최악의 금융 경로를 살펴볼 것이다.
김정일 시대 북한의 금융제도는 이원적 은행체계의 도입을 위한 법제정 등 외형상의 변화를 시도했으나, 고전적 사회주의 금융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만, 북한의 정책설계자들에게 이제 시장은 배척할 대상이 아니며 시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미세조정(fine tuning)이 필요하다는 경험을 남긴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015년 김정은은 북한의 금융변화를 ‘경제관리
[학위논문] 김형남
이 연구는 북한의 금융법제도의 현황을 파악하고 금융분야에서 남북의 법제도적 협력기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북한의 경제법제 가운데 금융제도의 변화와 개선을 위한 정책적 입장을 반영하는 관련 법령을 분석하여 금융제도의 발전적 변화 내용과 특징을 고찰한다. 남북한 체제의 근본적 차이는 법원칙과 제도에서의 차이를 가져오는 주된 원인이다. 북한에서 금융의 개념과 법체제는 남한과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어렵지만 북한의 금융법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남북간 금융분야의 교류와 통합을 위한 법제기반을 구축하는 방안을 논급한다.
북한의 경제현실의 변화를 반영한 북한의 금융법제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고찰하되, 특히 금융제도의 개편 및 발전과 관련한 법령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남북간 금융제도의
[학술논문] Marxism with Korean Characteristics Re-reading the Marxist Analyses of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by Korean Diasporic Revolutionaries in the USSR in the 1920-30s
...minerals from there while dumping Japanese consumer goods on the captive colonial market. In the 1930s, Valentin Kim-Serebryakov built further on this analysis, describing Japanese domination of Korean banking and industry as well as geopolitical considerations-driven industrialization in the northern parts of Korea. This theory, pioneered in Korea proper by such Communist economists as Pae Sŏngnyong in...
[학술논문] 북한의 전자지급결제법제 변화와 시사점
...Payment Law basically corresponds to a business regulation law. The Electronic Payment Law is organically linked to various legal systems in North Korea, especially the Central Bank Law, Commercial Banking Law, Monetary Circulation Law, and Electronic Authentication Law. In general, legal relations concerning payment and settlement shall be governed by the Civil Law. Through the Electronic Payment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