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근대 초기 (1896~1907)’ 戶籍 자료의 현황과 가치 -북한 지역의 集團傳記學 토대 구축을 위한 호적 자료의 기초적 연구(Ⅰ)-
...40책으로 파악되는데, 구식호적이 4책(17세기 후반~19세기 중엽에 작성), 신식호적이 36책(1896~1907년에 작성)이다. 지역(道)별로는 경기도가 2개 지역, 강원도가 4개 지역, 황해도가 6개 지역, 평안남도가 5개 지역, 평안북도 6개 지역, 함경남도가 3개 지역, 함경북도가 2개 지역 등, 총 28개(구식호적 4개, 신식호적 25개, 구식과 신식 호적 중복 지역 1개) 지역(郡)이다. 북한 지역의 호적 자료는 구식호적에 비해 신식호적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은 현전하는 북한 지역의 호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ㆍ소개하면서, 인물에 대한 집단적 연구를 위한 최적의 자료가 호적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 논문이 북한 지역의
集團傳記學 토대를 구축하는 동인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