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원국의 체제전환은 공여국의 원조 규모를 증가시키는가?: 중앙아시아 5개국에 대한 미국의 원조 분석과 북한에의 함의
...전년도(t-1) 대상국의 전반적인체제전환 수준에 의해 결정되나, 경제인프라 및 서비스에 대한 원조는 체제전환의 수준과 상관없이 공여되었다. 셋째, 당해연도(t) 생산영역에 대한 미국의 원조는 전년도(t-1) 수원국의 전반적인 체제전환 수준뿐 아니라, 대규모 사유화 수준 및 가격자유화 수준에 따라 그 규모가 다르다. 즉, 농업, 임업, 수산업 및 산업,
건설업 등을 포함하는 생산분야에 대한 미국의 공여는 수원국의 대규모 사유화가 진전될수록, 가격자유화가 확대될수록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북한에 두 가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북한의 체제전환은 미국의 원조 확대를 촉진할 수 있으며 둘째, 특히 대규모 사유화와 가격자유화가 본격화된다면, 북한의 경제발전목표달성과 직결되는 생산영역에 대한 외부 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