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8년 지방선거의 접경 효과: 연령, 도농, 개발 효과와의 구분을 중심으로
...보수 벨트는 붕괴되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주 거론되는 예는 북한과 인접한 접경지역이다. 사실 접경지역의 더불어민주당 지지는 2018년에 갑자기 등장한 현상이 아니고 이전 선거에서도 있었다. 접경지역은 대체로 농촌이고 노령인구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접경지역의 특성이 도시화되지 않은 효과 그리고 연령 효과인지 확인해야 한다. 노년층일수록 보수 후보에게
투표한다는 연령 효과는 지역에 따라 달랐다. 연령 효과는 접경지역보다 비접경지역에서, 또 강원 지역보다 경기 지역에서 더 컸다. 강원 접경지역에서는 연령 효과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에 다른 조건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비접경지역보다 접경지역에서 더 진보적인 선거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접경지역은 각종 법규로 개발이 제한받는 곳이기 때문에 지역개발 가능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