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교과서 ‘고전시가 해석’의 한 양상
... 그들의 이름으로 이론체계가 공표되어 모든 공적ㆍ사적 행위를 규율하는 이념이 주체사상이다. 자연스럽게 문학창작이나 해석 또한 김일성의 교시와 김정일의 지적을 최고의 강령으로 삼아 이루어지게 되고, 고전문학의 해석에서 이들 강령은 더더욱 강한 구속력을 갖게 되었다. 학생들을 위한 고전문학 작품들 역시 주체미학의 엄격한 범주 안에서 선택되어야 하고, 사회
과학원이나 주체문학연구소 등에서 주체사상의 강령 아래 학자들의 합의에 의해 해석된 내용체계를 수용하여 교과서의 내용으로 편성하게 되니, 교과서의 구성이나 제작은 처음부터 주체사상의 이념적 틀 안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일이었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작품들은 고대가요 공후인, 중세시가 정읍사, 청산별곡, 여러 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