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보독점의 부작용에 관한 역사적 사례 고찰 : 4·19혁명 전후 정보경찰을 중심으로
...축소개정됐다. 북한은 이러한 정세변화에 편승하여 위장평화공세를 벌이며 남한내부에 친북정치세력의 육성을 추진했다. 그리고 내각제개헌을 통해 집권한 장면정부는 이승만 정부 말기 정치에 개입한 정보경찰에 대한 대대적 숙청을 단행했다. 그 결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보수집활동이 위축되어 공공질서가 문란해졌다. 장면정부는 사회질서를 회복하기위해 국내정보수집활동을 강화하기위한 정보기구를 신설하고, 반공법 제정 및 국가보안법 재개정 등 법제 정비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그리고 군,경찰,검찰에서 수집한 첩보를 국가차원에서 분석판단하는 정보체계를 구축하지 못했다. 이러한 국가정보체계의 마비는
군사
정변을 촉발한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정보의 독점은 민주적 정치질서를 왜곡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