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민주주의민족문화’론은 해방 조선의 신문화가 노동자·농민계급의 주도 아래 건설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해명한 것이었다. ‘민주주의민족문화’론의 사상적 배경은 마르크스·레닌주의라고 할 수 있으나, 궁극적인 목표는 노동자·농민대중에 의한 민족문화의 건설이었다. 때문에 문화건설의 중점은 군중문화정책과
군중
문화
사업에 두어졌다. 정책은 노동자·농민대중과 문화예술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방안으로 채워졌으며, 이에 기반한 사업은 민주선전실의 군중문화거점화, 전문적인 문학예술의 대중화, 대중들의 문화예술활동이라는 방향에서 추진되었다. 그 결과 북한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노동자·농민대중은 이전과는 다른 문화예술활동을 영위할...